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年8조 시장 이벤트는 마이스와 한몸…법으로 규정해 함께 육성해야" [MICE]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한석 한국마이스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

5700개사 종사자 6만여명 '이벤트 산업'

마이스에 포함 외연 확대 체질 강화해야

이벤트산업 육성 법적 토대 40년째 전무

정부 지원 제대로 못받고 사각지대 방치

문화행사 축제산업 발전법' 제정 재도전

이벤트가 관광·마이스 퀀텀점프 이끌 것

이데일리

김한석 한국마이스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사진=이선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선우 기자] “업(業)의 속성상 ‘이벤트’는 분명 ‘마이스’입니다.”

김한석(사진) 한국마이스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단호한 표정과 어조로 이렇게 말했다. 이벤트를 관광·마이스 산업의 퀀텀점프를 이끌 가장 확실한 ‘추진체’라고도 했다. 기업체 5700여 개, 종사자 6만여 명, 시장규모 연 8조원의 이벤트업이 관광·마이스 산업의 외연을 키우고, 다양성과 확장성 등 체질을 강화해 줄 것으로 그는 기대했다. 22대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이 끝나는 대로 이벤트의 산업적 정의와 범위를 명문화할 ‘문화행사·축제산업 발전법’ 제정에 재도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벤트업 마땅한 정부 주무 부처·부서도 없어

김 이사장은 지난 22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한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벤트는 명시만 되지 않았을 뿐 기계 작동에 꼭 필요한 중요 부품, 요소 기술처럼 이미 마이스의 전 분야에 녹아들어 가 있다”고 강조했다. 올 3월 협동조합 명칭에 마이스를 추가한 것도 이벤트업의 이 같은 속성과 특징을 대외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즈니스 속성상 마이스와 이벤트 업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 행사 성패에 따라 역량을 인정받는 ‘공동 운명체’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이벤트를 마이스 범주에 포함하는 건 새로운 업종을 끼워 넣는 게 아니라 산업 내 존재하던 사각지대를 없애는 것으로 봐야 합니다.”

김 이사장은 이벤트업이 1980년대 초반부터 40년 넘게 대한민국의 경제와 산업 성장사를 함께 써내려 왔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나라 전체를 들썩이게 하는 굵직한 국제행사가 열릴 때마다 항상 현장에는 이벤트 업계가 있었다는 것. 하지만 이러한 업의 역사와 역할에 비해 산업을 정의하고 육성할 법적 토대와 근거는 40년 전이나 지금이나 전무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데일리

김한석 한국마이스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사진=이선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이벤트는 표준산업분류기준상 전시컨벤션 행사대행(N75992)에 속해 있다. 이마저도 산업명이 명기된 것이 아닌 행사대행 업태 안에 개념적으로 포함돼 있을 뿐이다. 호적상에 제대로 된 이름조차 올리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처지가 이렇다 보니 정부로부터 받는 지원은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제4차 국제회의산업 육성계획에 이벤트를 포함하면서 시작한 지역 특화 국제 이벤트 육성 지원이 전부다.

김 이사장은 “1994년 중소벤처기업부(당시 중소기업청) 산하 중소기업중앙회 소속 단체로 조합을 설립한 것도 주무 부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분야가 워낙 광범위한 영향도 있지만 지금도 문체부 내에서 정확한 주무 부서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답답해했다.

관련 법 제정 재추진…“마이스 통합 법 필요”

업종에 대한 불명확한 기준과 근거로 인한 여파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고스란히 ‘회생 불가’의 업계 피해로 이어졌다는 게 김 이사장의 설명이다. 이벤트 업계는 장기간 이어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한때 1만여 개에 달하던 사업체가 5700여 개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상태다.

그는 “마땅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고용유지 지원금 외에 정작 필요한 긴급 융자지원은 단 한 푼도 받지 못한 채 폐업한 곳이 부지기수”라며 “발주처에서 운영 수수료나 수익을 턱없이 깎아도 마땅히 하소연할 곳도 없다”고 답답해했다.

이번이 네 번째 시도인 관련 법 제정은 마이스 통합 법을 염두에 두고 추진할 방침이라고 했다. 35년 경력의 이벤트 전문가의 견지로 볼 때 마이스 산업이 성장에 필요한 동력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으려면 산업 전체를 포괄하는 상위법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데일리

김한석 한국마이스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사진=이선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7년 시작한 관련 법 제정은 2019년에 이어 2021년까지 번번이 국회 문턱을 제대로 넘지 못한 채 폐기되기를 반복해 왔다. 김 이사장은 “이전에 비하면 이벤트업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졌다”며 “관련 법 제정은 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될 때까지 시도할 계획”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벤트업을 기존 행사나 프로그램의 생산성, 부가가치를 높이는 유용한 도구로 봐달라고 당부했다. 이벤트 업계의 아이디어, 기획·연출 능력이라면 행사 본연의 전문성에 대중성을 가미하는 방식으로 흥행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당부의 이유다. 대중의 관심과 흥미를 자극하는 ‘이슈 메이킹’ 역량만큼은 이벤트 업계가 최고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마이스 전 분야에 발을 걸친 이벤트업이 업계 전체를 유기적으로 잇는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마케팅이 필요한 중소기업이 마이스를 비즈니스 활동의 도구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센터 콘셉트의 ‘융복합 콘텐츠 연구소’ 설립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