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이스라엘-헤즈볼라 전면전으로 치닫나…미, 전전긍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06년 전쟁 때보다 전투력 크게 강한 헤즈볼라

이스라엘 군과 금지선 시험하는 치고 받기 지속

확전 바라지 않는 듯하나 언제든 확전 위험성

뉴시스

[아이타룬=신화/뉴시스] 지난 8일(현지시각) 이스라엘 접경 지역인 레바논 남부 아이타룬에서 이스라엘군 공습으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치고받기가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2024.06.1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가자 전쟁이 지속되는 와중에 이스라엘과 레바논 헤즈볼라 사이에 치고받기가 격해 지면서 전면전으로 비화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모두 겉으로는 전면전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이지만 최근 치고받기가 격해지면서 위험이 커지고 있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이 가자 전쟁을 멈추기 전에는 협상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하고 있으나 가자 전쟁은 앞으로도 몇 개월 지속될 전망이다.

하마스보다 월등한 군사력의 헤즈볼라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남부에서 공격하자마자 헤즈볼라가 침공할 것에 대비해 북부 국경 방어를 강화했다. 실제로 헤즈볼라는 하마스 침공 다음날 이스라엘 북부를 공격했고 이스라엘은 반격했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과 마지막으로 전쟁을 치른 2006년보다 전투력이 훨씬 강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5주 동안 이어진 전쟁으로 이스라엘 160 명, 레바논 1000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100만 명 이상이 난민이 됐다. 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의 전쟁이 재발하면 피해가 훨씬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슐로모 브롬 이스라엘군 준장은 전면전이 일어나면 드론 등 헤즈볼라가 보유한 무기들이 이스라엘 대공 방어망을 압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헤즈볼라군은 또 이란의 지원을 받는 시리아 정부군 편에 서서 풍부한 전투 경험을 쌓았다.

뉴시스

[사페드=AP/뉴시스] 12일(현지시각) 레바논군이 레바논과 국경 지대인 이스라엘 북부 사페드에 로켓 공격을 가해 불 타는 현장에서 이스라엘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이스라엘군이 전날 레바논 남부를 폭격해 헤즈볼라 고위 지휘관 등 4명이 숨진 것과 관련해 레바논이 로켓포 수십 발을 발사해 보복 공격을 가했다. 이처럼 양측간 치고받기가 갈수록 위험 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2024.06.1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도 헤즈볼라도 전면전 바라지 않지만…


그러나 헤즈볼라 역시 전면전이 달갑지 않다. 가자 전쟁 이전부터 레바논 경제가 최악이어서 레바논 국민 대다수가 전쟁을 바라지 않는다. 또 헤즈볼라를 지원하는 이란도 전면전을 원치 않을 수 있다.

지난주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헤즈볼라 고위 지휘관 탈렙 압달라가 숨지면서 헤즈볼라가 수백 발의 로켓과 드론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그러나 공격은 잘 조율된 것이었다.

아사프 오리온 이스라엘 예비역 준장은 “양측 모두 레드 라인을 시험하고 있으나 현재로선 전면전을 원치 않는 듯하다”면서도 “그러나 의도와 달리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헤즈볼라에 대한 대대적 공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하마스의 공격이 있은 직후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레바논을 선제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기각된 적이 있다. 이스라엘군은 18일 최고 지휘관들이 레바논 공격 예비 작전 계획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또 극우 각료들은 레바논 국경 안쪽으로 보안구역을 설정하라고 요구한다.

지난해 10월7일 이후 레바논 민간인 80명과 이스라엘 민간인 11명, 헤즈볼라 전투원 약 300명과 이스라엘 군인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미국의 외교적 압박


호치스타인 선임 고문이 18일 레바논 고위 당국자들을 만나 외교적 해결을 압박했다. 전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만난 뒤였다.

이스라엘은 2006년 안보위원회 제안을 근거로 유엔군과 레바논 정규군만 배치하고 헤즈볼라가 병력이 리타니 강 북쪽으로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헤즈볼라가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

호치스타인 선임고문은 미국이 테러단체로 지정한 헤즈볼라와는 접촉하지 않았으며 나지브 미카티 총리 등 레바논 정부 인사들과만 만났다. 그러나 이들의 헤즈볼라에 대한 영향력은 미미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