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식당서 밤샘 구상한 게임칩, 31년 만에 ‘AI 황제’ 만들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젠슨 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의 대중 레스토랑 ‘데니스’에 AMD 출신 엔지니어 젠슨 황과 IBM 출신 커티스 프리엠, 휼렛패커드(HP) 출신 크리스 말라코스키가 모였다. 24시간 문 여는 이 식당에서 이들은 커피를 열 번이나 리필하며 PC에 사실적인 3차원(3D) 그래픽을 구현해 줄 칩 사업을 구상했다. ‘인공지능(AI) 황태자’ 엔비디아의 시작이다. 그로부터 꼬박 31년 뒤 2024년 6월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엔비디아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3조3350억 달러(약 4600조원)를 기록, 마이크로소프트(MS·3조3173억 달러)와 애플(3조2859억 달러)을 제치고 단숨에 시총 1위 자리에 올랐다. 회사가 시총 10위권 내에 진입한 게 불과 2년 전이었다. AI 열풍을 타고 미국 증시 역사상 유례없는 속도로 진격했다. 시총 2위인 MS 주가가 올해 20% 오르는 동안 엔비디아는 174% 올랐다.

블룸버그 “누구도 대체 불가한 상황”

창업 당시 황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공동창업자들은 이미 인텔 같은 강자가 꽉 잡고 있는 중앙처리장치(CPU) 대신 그래픽처리장치(GPU)로 눈을 돌렸다. 초기에는 3D 비디오 게임을 구동하는 GPU를 제조해 파는 엔비디아를 주목하는 곳은 많지 않았다. 하지만 황 CEO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중요한 시대가 올 것으로 예견하고 GPU 성능을 꾸준히 높이며 뚝심 있게 사업을 이어나갔다. 2017년 코인 열풍이 불고, 암호화폐 채굴에 GPU가 사용되면서부터 시장은 엔비디아를 눈여겨보기 시작했다.

중앙일보

정근영 디자이너


2022년 챗GPT를 비롯한 생성 AI 열풍이 불면서 엔비디아의 폭발적 성장이 시작됐다. 챗GPT와 같은 거대언어모델(LLM)을 훈련시키는 데 GPU가 핵심 역할을 하며 엔비디아가 ‘AI의 황태자’로 거듭난 것이다. AI 모델을 훈련하려는 빅테크들은 GPU를 구하기 위해 지금도 ‘돈을 싸들고 기다리는’ 상황이다.

엔비디아의 시장 장악력이 커질수록 반(反)엔비디아 연합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가도 엔비디아의 승자독식 생태계는 더 공고해지고 있다. 강력한 경쟁자로 꼽히는 AMD가 꾸준히 가성비 좋은 신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고객들은 여전히 엔비디아 제품을 택한다. 웰스파고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데이터센터용 GPU 시장에서 매출 기준 엔비디아 점유율은 98%에 달한다. 엔비디아 스스로 자신들이 “AI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고 자신하는 이유다.

지난 3월 공개한 초고성능 신형 AI 칩 블랙웰을 통해 회사는 더 큰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본다. 황 CEO는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향후 블랙웰의 수요가 여전히 공급을 크게 앞지를 거라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웨이프 자산매니지먼트 전략가인 라이스 윌리엄스를 인용해 “엔비디아가 영원히 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할 수는 없겠지만, 현재 누구도 이를 대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센터장은 “경쟁사인 AMD와 브로드컴은 엔비디아보다 성능이 15~20% 정도 뒤처져 있다”며 “엔비디아는 매출총이익이 80%에 달해 성장성도 다른 빅테크에 비해 독보적”이라고 봤다.

로봇 플랫폼·클라우드 등 사업 다각화

중앙일보

정근영 디자이너


이런 엔비디아에도 고민은 있다. AI 붐을 타고 급격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언젠가는 수요 둔화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IT 전문지 디인포메이션은 황 CEO가 지난해 크리스마스 무렵 “고객들이 AI 칩을 설치할 데이터센터 공간이 부족해지면 향후 회사 매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또 MS나 메타 등 빅테크 기업들은 현재 수익이 확실치 않은 상태에서 미래 투자의 일환으로 AI 칩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기 때문에 이 구매가 언제든 중단될 위험이 있다고 회사는 분석한다.

엔비디아는 소프트웨어 판매를 늘리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의 결합을 통해 장기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식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회사는 AI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있으며 1년 전부터는 자체적으로 서버를 임대하는 DGX클라우드 사업도 시작했다. ‘로봇을 만들지 않는 로봇 사업’ 역시 이 일환이다. 엔비디아는 로봇 하드웨어를 제조하는 대신에 AI를 통해 로봇을 학습시키는 로봇 플랫폼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

월가는 당분간 엔비디아 주가의 ‘추가 질주’를 예상하는 분위기다. 애널리스트들은 목표 주가를 올려 잡고 있다. 로젠블라트증권의 한스 모세만 애널리스트는 목표 주가를 종전 140달러에서 200달러로 올렸다. 이날 종가(135.58달러) 대비 47% 높은 수준이다. 투자회사 서스케한나의 크리스 롤랜드 애널리스트는 목표 주가를 종전 145달러에서 160달러로 높였다.

엔비디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전문가들은 ‘기술력’과 ‘성장성’에 주목한다. 웨드부시증권의 대니얼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4차 산업혁명이 벌어진 가운데 엔비디아의 GPU는 본질적으로 기술 분야의 새로운 금 또는 석유”라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에선 엔비디아의 독주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이 자체 AI 칩을 개발하거나 다른 파트너와 협력하면서 엔비디아 GPU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AI에 투자하는 ‘큰손’들이 자체 투자를 줄일 가능성도 있다.

박해리·김연주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