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2024 전국장마' 제주 기점으로 시작될 올해 장마 시작 시기&기간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HN스포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HN스포츠 서예은 인턴기자) 현재 최고 온도 35도로 숨 막히는 무더위를 날려버릴 장마가 찾아온다.

장마는 여름철 오랜 기간 지속해서 많은 비를 내리는 강수 현상이다. 주로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 여름에 걸쳐 지속되며, 동아시아에서 차갑고 습한 기단과 덥고 습한 기단의 장마전선이 생기면서 발생한다.

장마 기간은 연도별로 편차가 매우 크고, 지구온난화로 발생한 심각한 이상 기후로 점점 더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지방부터 시작해 남부지방을 거쳐 중부지방으로 장마전선이 올라오며 장마가 시작된다.

기상청 데이터에 따르면, 장마 평균 기간은 약 31일이며, 집중호우가 이어지는 강수일수는 약 17일 정도이다. 평균 강수량은 340~370mm를 넘나드는 수준이지만, 지난 2020년과 2023년의 경우 강수일수가 20일이 넘고, 강수량도 600mm 넘어 예상보다 길고 힘든 장마가 지속됐다.

기상청의 2024년 3개월 전망은 올해 6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한 확률은 50%, 많은 확률은 30%로 분석했다. 7월과 8월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거나 비슷할 확률은 각각 40%다.

또한 올해 장마는 지난해처럼 좁은 지역, 짧은 시간에 엄청난 비가 내리는 국지성 호우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

MHN스포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올여름 장마가 끝나면 찜통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된다. 봄에 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6월부터 한여름에 가까운 더위가 나타나는 이유가 평년보다 높은 해수면 온도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올봄 높았던 서태평양과 인도양, 대서양 등의 해수면 온도 때문에 고기압이 형성돼 한반도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20일 낮 최고 기온이 35도까지 올라가며 당분간 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제주도에는 비가 내리고 있다.

제주의 평년 장마 시작일이 6월 19일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비가 장마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아직 북태평양고기압이 일본 남쪽 먼바다에 있고, 고온다습한 공기 덩어리도 중국 남쪽에 머물러 있어 단정할 순 없지만 일부 예보 모델에선 추후 비가 자주 내릴 것으로 보이는 형태도 관찰되고 있어 장마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전통적인 의미의 장마는 광범위한 지역에 오랜 기간 내리고 장마전선 이동에 따라 예측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며 "기후변화의 여파로 '장마'란 용어가 더 이상 한반도 여름 강수 현상에 안 맞는다는 지적도 있다"고 말했다.

사진=픽사베이

<저작권자 Copyright ⓒ MHNsports / MHN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