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그때는 아니고 지금은 맞다”…사면 망한다더니, 집값 오르자 맘 바꾼 수요자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매매수급지수 2년반 만에 최고
마포 서대문 은평, 수요가 공급 앞서
5월 거래량 5000건 돌파 가능성


매일경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퍼지기 시작한 아파트 가격 상승 기류가 서울 내 다른 자치구로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부동산중개업소 내부를 한 시민이 살펴보고 있다. [이충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퍼지기 시작한 아파트 가격 상승 기류가 서울 내 다른 자치구로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부동산 침체기에 시장을 관망하던 실수요자들이 부동산 시장이 반등할 기미를 보이자 ‘내 집 마련’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종합부동산세 등 정부의 부동산 세제 완화 기조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등으로 올 하반기에도 아파트 매수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지난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96.4)보다 1.6포인트 오른 98으로, 이는 2021년 11월 마지막 주(98) 이후 약 2년 반 만에 최고치다.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집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로 떨어질수록 그 반대를 의미한다.

권역별 매매수급지수를 보면 마포·서대문·은평구 등이 위치한 서북권은 전주 대비 2.8포인트 오른 100.8을 기록, 2021년 10월 넷째 주(100.9) 이후 약 2년 7개월 만에 기준선을 넘겼다.

서북권 아파트 매매가격도 강세를 보인다. 이번 주 서북권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 폭은 0.22%로 서울 지역 5개 권역 중 가장 컸다. 특히 마포구의 올해 아파트 매매가 누적 변동률은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은 1.03%를 보였다.

서북권 외에 용산·종로·중구가 있는 도심권(96.2→98.6),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97.3→98.5), 영등포·양천·동작·강서구 등이 있는 서남권(94.3→95.5),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가 있는 동남권(97.1→98.9) 등 전 권역의 매매수급지수가 상승하면서 기준선에 근접해 가고 있다.

아파트 거래도 늘고 있다. 서울 부동산정보광장 자료를 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372건을 기록했다. 5월 거래량도 지난 17일 기준 4608건에 달한다. 아직 신고 기한이 열흘가량 남았지만 이미 4월 거래량을 뛰어넘었는데, 이는 2021년 7월(4796건) 이후 가장 많은 거래량이다. 일각에선 5000건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거래가 늘면서 적체됐던 매물도 감소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지난 6일 8만5344건(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 자료)에서 20일 현재 8만3662건으로 1682건 감소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가장 큰 변수는 기준금리 인하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부동산으로 시중 자금이 흘러 들어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인하 전임에도 시중 금리가 3% 수준으로 떨어지자 벌써부터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나고 있다. 시중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5월 말 기준 546조3060억원으로 올해 들어 16조4138억원 급증했다. 월간 증가 폭은 4월 4조3433억원에 이어 5월 5조3157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달 들어서도 2주간 2조원 넘게 증가했다. 은행 업계에서는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주담대 평균 금리가 부동산 상승기 수준인 2%대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부동산 매매시장을 떠났던 이들이 돌아올 만한 시장 환경이 마련되는 것이다.

공사비 상승, 프로젝트파이낸싱(PF) 규제 등으로 인한 공급 물량 감소도 아파트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주택 공급 물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어 내년이나 내후년에 공급 부족에 의한 집값 폭등세가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정부의 종부세 등 세제 완화 카드도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정성진 어반에셋매니지먼트 대표는 “정치권에서 종부세 폐지 논쟁으로 시끄러워진 이후 시장에서 매물 문의가 늘고 있다”면서 “1주택자에 한해서라도 종부세가 폐지되거나 완화되면 부동산 시장이 더 살아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 5월 첫째 주 기준선(100)을 넘어선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이번 주 103.5를 기록했다. 도심권 102.6, 동북권 107.7, 서북권 103.2, 서남권 103.2 등으로 동남권(98.1)을 제외한 전 권역의 전세수급지수가 100을 넘겼다.

동남권의 경우 강동구에 집중된 신규 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전세수급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