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외국인들 먹성에 놀란 K-푸드…고물가에도 "공장 더 짓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대규모 설비투자 나서는 주요 식품 기업들/그래픽=김지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푸드(한국산 식품)의 인기가 계속되면서 농심 등 주요 식품 기업들이 대규모 설비 투자에 나서고 있다. 대형 물류 센터를 마련하거나 생산 설비 신·증설에 한창이다. 다만 K-푸드의 인기가 얼마나 더 지속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는 만큼 일각에선 신중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K-푸드 선봉대 라면, 물류와 생산 '두 마리 토끼' 한번에 노린다

2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식품 기업들의 설비 투자는 크게 물류와 생산 확대에 방점이 찍힌다. M&A(인수합병)나 R&D(연구개발)과 같은 투자와 달리 당장 필요로 하는 곳에 돈을 쓰고 있다는 얘기다. 식품 업계는 예상보다 미국 등 해외 소비자들의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폭발적으로 해외 수요가 늘고 있는 라면 제조 업체들의 투자 규모가 눈에 띈다. 농심은 최근 2027년 10월까지 2290억원을 투자해 울산 삼남물류단지에 대형 물류센터를 마련한다. 17년 만에 처음으로 국내 신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농심은 물류 센터까지 함께 건설해 수출 경쟁력을 극대화 하겠다는 전략이다. 농심은 라면 수출 전용 공장 건설도 검토 중이다.

불닭볶음면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삼양식품은 1600억원을 들여 경남 밀양시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 수출용 '밀양 2공장'을 짓고 있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불닭볶음면 하나로 해외에서 6800억원을 벌여들였고, 사상처음 연매출 1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라면은 K-푸드의 인기를 반증하는 대표 제품이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라면 수출액은 1억859만달러(약 15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46.8% 늘었다. 증가율로만 보면 2022년 5월 49.3% 이후 1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라면 수출액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간 매년 증가 추세다. 올해도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경우 10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머니투데이

크라운제과 충남 신아산공장의 전경./사진=크라운해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과·제빵 기업들도 발 벗고 나섰다…대규모 투자 단행

제과·제빵 등 다른 식품제조 업체들도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제과 업체인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와 오리온은 국내·외 대형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롯데웰푸드는 다음달부터 2205억원을 투자해 경기 평택공장과 중앙물류센터(CDC) 증설 공사에 돌입한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10월 인도에 초코파이 3번째 라인 가동에 돌입했고, 올해 하반기 빙과 공장과 내년 빼빼로 공장 증설도 추진 중이다.

오리온은 올해 충북 진천의 5만7000평 부지에 물류센터와 신규 공장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다. 중국과 베트남 공장에서도 생산 설비를 확대할 방침이다. 오리온 향후 미국에서 연 매출이 400억원을 넘을 경우 현지 생산 공장 설립도 검토할 계획이다.

SPC삼립은 올해 말까지 715억원을 들여 경기 시화공장의 베이커리 설비 투자를 진행 중이다. 유럽 시장에 문을 두드리고 있는 SPC는 이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크라운 해태는 약 700억원을 들여 지난달 충남에 신(新)아산공장을 완공하고 가동에 돌입했다. 크라운제과가 과자 공장을 지은건 1988년 이후 36년 만이다.

업계는 해외에서 K-푸드에 대한 인기가 계속 될 것으로 예상하고 대규모 물류·생산설비 투자가 확산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세계적인 고물가 영향으로 해외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얼어붙어 국내 식품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만큼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식품 업계 관계자는 "K-푸드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여전히 단기적인 유행에 그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윤 기자 mto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