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北·러 군사동맹급 밀착, 난감해지는 中…韓과 관계복원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원치않는 한미일 삼각구도 고착화"

"지역안정화 위해 韓과 관계 복원 나설듯"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근 방북 이후 체결된 북한과 러시아간 군사동맹급 새 조약이 중국에는 관리하기 어려운 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대한 조약'은 중국이 비난하는 미국의 블록화와 정확하게 같은 종류"라며 "동북아시아에서 냉전식 대결의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고 지적했다.

NYT에 따르면 해당 조약은 중국이 피하고자 하는 '북중러 삼각동맹' 구도를 심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점에서 중국에 또다른 고민을 던져주고 있다. 한국과 미국, 일본이 북러 조약에 따른 위협으로 자신들의 안보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나서면서 동북아시아 전체의 긴장감이 고조된다는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입장에서는 북한과 러시아라는 소위 국제세계에서의 '왕따 국가'들의 예측할 수 없는 두 지도자의 행동에 따른 악영향에 직면할 위험도 있다. 이미 푸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중국과 서방 관계에 심각한 손상을 가했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 무력시위는 한미일 3각 공조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향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서 사용할 군수품을 받는 대가로 북한에 핵무기 프로그램을 강화할 기술을 제공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스인훙 중국 인민대 교수는 NYT에 "중국 시각에서 북러 조약은 한미일 동맹과 결합해 지역 내 대립과 경쟁, 갈등 위험을 상당히 악화시켰다"며 "한반도 평화가 중국의 최우선 과제"라며 "지역 내 군사화가 가속하면서 중국의 중대한 이익 중 하나가 위태로워졌다"고 설명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관계가 한중관계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러 관계가 냉전시대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됨에 따라 중국이 한국과 관계를 회복하고 안정화하려는 동기를 더 갖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평양에서 만났던 지난 18일 서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위 외교안보 당국자들이 회동했다고 NYT는 전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