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국방과 무기

푸틴의 협박 “한국이 만에 하나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 제공하면 큰 실수 될 것”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지난 2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베트남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을 보며 박수 치고 있다. 그는 19일 북한 방문에 이어, 20일엔 베트남을 찾아 럼 베트남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서로의 적대국과 동맹을 맺지 않기로 합의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일 한국 정부를 겨냥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제공한다면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러시아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북한과 냉전 시절의 군사 동맹 관계를 복원하는 조약을 체결, 한반도의 안보 불안을 고조시킨 데 이어 한국이 대응 조치를 시사하자 즉각 보복 경고를 한 것이다.

푸틴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한·베트남 순방 마무리 기자 회견 중 러시아 언론으로부터 북·러 간 조약 체결에 대응한 한국 정부의 우크라이나 살상 무기 공급 검토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러·북 간 군사 지원은 어느 한쪽이 침략을 받았을 때만 발동된다”며 “내가 아는 한 한국은 북한에 대한 침략 계획이 없기 때문에 우리의 협력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만에 하나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공급하게 된다면, 이는 매우 큰 실수가 될 것이다. 그런 일이 벌어지면 우리도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푸틴은 이어 “북한에 대한 초정밀 무기 공급을 배제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 19일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으면 ‘지체 없이 군사 원조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을 명문화한 사실상의 군사 동맹 조약이다. 미국과 구(舊)소련 사이 냉전이 극을 향해 치닫던 1961년 체결돼 한·러 수교 6년째인 1996년 폐기된 ‘조·소(북한과 옛 소련)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의 내용을 그대로 계승했다. 푸틴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조약은 (1961년의) 기존 조약과 동일한 내용으로, 여기에 새로운 것은 없다”며 이를 인정했다.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푸틴의 하노이 기자회견 후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를 불러 “북·러 군사 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한·러 관계에도 악영향을 준다”고 했다. 김 차관은 또 “한국은 자국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며 러시아에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했다. 전날엔 조태열 외교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전화 통화를 통해 북·러 군사 협력을 규탄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 ☞ 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파리=정철환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