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 생태계 리더십 선점해야"…재계 총수들 잇단 실리콘밸리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용, 2주간 북미 출장…저커버그 자택서 AI 협력 논의

"인류에 도움되는 AI" 최태원, 전날 미국 출장길…구광모, 짐 켈러 등 만나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글로벌 경제 환경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재계 총수들이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리더십을 선점하고자 미국 실리콘밸리를 찾는 등 분주하다.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실리콘밸리를 방문한 데 이어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미국으로 향했다.

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23일 재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4월 미국 새너제이 엔비디아 본사에서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회동한 지 2개월 만에 또다시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SK그룹의 AI 생태계를 바탕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협업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최 회장은 앞서 지난 6일에는 대만을 찾아 글로벌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의 웨이저자 이사회 의장(회장)과 만나 "인류에 도움되는 AI 시대 초석을 함께 열어가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전날 출국한 최 회장은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김주선 SK하이닉스 사장 등과 함께 실리콘밸리를 비롯해 현지 파트너사들이 있는 여러 지역을 돌며 신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사업 방향을 점검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만난 최태원 회장
[최태원 회장 인스타그램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SK그룹은 반도체부터 서비스까지 AI에 필요한 모든 생태계를 육성하고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 시스템 구현에 필수적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AI 서버 구축에 최적화된 고용량 DDR5 모듈, 엔터프라이즈 SSD(eSSD) 등을 앞세워 글로벌 AI용 메모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SK텔레콤의 생성형 AI 서비스 '에이닷'은 차별화된 개인비서 기능으로 400만명에 육박하는 가입자를 끌어모았으며, SK그룹의 에너지·자원 사업역량을 한데 모은 '클린에너지솔루션'은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청정에너지 확보와 전력 사용 절감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합뉴스

저커버그 최고경영자와 만난 이재용 회장
(서울=연합뉴스) 지난 11일(현지시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자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6.13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앞서 이재용 회장과 구광모 회장도 미국 출장을 통해 AI 관련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미래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지난 13일 귀국한 이 회장은 미국 동·서부를 가로지르는 2주간의 출장에서 글로벌 CEO들과 중장기 비전을 공유하고 미래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올해 출장은 특히 AI와 반도체에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지난 11일(현지시간)에는 미국 서부 팔로 알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의 자택으로 초청받아 단독 미팅을 갖고 AI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과 소프트웨어(SW)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2월 저커버그 CEO 방한 시 삼성 영빈관인 승지원에서 회동한 지 4개월 만으로,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와 메타는 AI 분야로 협력을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이재용 회장, 퀄컴 최고경영자와 회동
(서울=연합뉴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있는 삼성전자 DSA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6.13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 겸 CEO, 앤디 재시 아마존 CEO 등도 만나 AI 반도체 등에서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 회장은 이번 출장에서 "모두가 하는 사업은 누구보다 잘 해내고, 아무도 못 하는 사업은 누구보다 먼저 해내자"라며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당부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반도체 전설' 짐 켈러와 만난 구광모 LG 회장
(서울=연합뉴스) 지난 17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북미를 방문 중인 구광모 LG 대표(왼쪽)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AI 반도체 설계 업체 '텐스토렌트'의 CEO '짐 켈러'와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6.23 [㈜L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구 회장은 지난 17일부터 나흘간 미국 테네시와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북미 현지 사업과 미래준비 현황을 점거하고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

특히 실리콘밸리에서는 LG 사업장 외에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AI 스타트업을 찾아 AI 분야 최신 기술 동향을 살폈다.

실리콘밸리는 글로벌 빅테크들의 격전지이자 스타트업의 메카로, 전 세계에서 AI,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이 가장 치열하게 논의되는 지역이다.

구 회장은 '반도체 전설'로 불리는 짐 켈러 텐스토렌트 CEO와 만나 AI 확산에 따른 반도체 산업 영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고, AI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 AI를 찾아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 원'의 구동을 살펴보기도 했다.

연합뉴스

'피규어 AI' 휴머노이드 로봇 살펴보는 구광모 대표
(서울=연합뉴스) 지난 17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북미를 방문 중인 구광모 LG 대표(왼쪽)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로봇 개발 스타트업 '피규어 AI(Figure AI)'에 방문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2024.6.23 [㈜L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구 회장은 또 LG테크놀로지벤처스와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를 찾아 AI 등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 등을 점검하고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만들어 더 많은 파트너들이 LG를 찾아 새로운 사업 모델이 지속 발전되는 '선순환'을 만들자"고 당부했다.

LG는 2018년 실리콘밸리에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 2020년에는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를 설립하고, 글로벌 스타트업 등과 협업을 강화하며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힘써왔다.

hanajja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