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사막 더위’ 가고 ‘동남아 더위’ 온다…서울 117년 만에 가장 빠른 열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2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분수대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무더운 휴일을 보내고 있다. 2024.06.23.[서울=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7년 만에 가장 빨리 찾아온 열대야, 6월 폭염 일수 역대 최대, 온열질환자 전년 동기 대비 2배로 급증…. 올 6월 한반도는 일찍 찾아온 폭염이 시민들을 괴롭히며 여러 기록을 양산했다. 최근까지 고온 건조한 ‘사막 더위’에 시달렸던 수도권 등 중부 지방에는 이번 주부터 무더위와 높은 습도가 겹치며 ‘동남아 더위’가 기승을 부릴 전망이다.

● 서울 117년 만에 가장 빠른 열대야

23일 기상청은 21일 밤~22일 아침 서울에 올 들어 첫 열대야가 찾아왔다고 밝혔다. 밤새 최저기온이 25도 아래로 안 떨어지면 열대야로 인정되는데 이날은 22일 오전 2시 29분 25.1도가 가장 낮은 기온이었다.

기상청에 따르면 21일 낮 서울 최고기온은 35.1도였다. 그런데 이날 하늘에 구름이 두껍게 낀 탓에 낮시간 달궈진 공기가 ‘구름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했고 여기에 뜨겁고 습한 남풍까지 불면서 첫 열대야가 나타난 것이다.

서울의 첫 열대야 시기는 매년 앞당겨지고 있다. 2020년에는 8월 4일이었지만 2021년엔 7월 12일로 한 달 가까이 빨라졌다. 2022년 사상 처음으로 6월에 열대야가 관측됐고, 올해까지 3년 연속 ‘6월 첫 열대야’를 기록했다.

6월 폭염 일수는 이달 23일까지 2.7일로 집계됐다. 1973년 전국 기상 관측 개시 이후 6월 최다 폭염 일수(2020년 1.9일)를 이미 넘어섰다. 유럽연합(EU) 코페르니쿠스기후변화서비스에 따르면 지구 평균 기온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12개월 연속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는데 이번 달도 기록 경신이 유력하다. 서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등의 바다가 달아올라 세계 곳곳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온열질환자도 폭증하고 있다. 23일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집계를 시작한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약 한 달간 온열질환자는 299명(추정 사망 2명 포함)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사망 1명 포함 152명)의 두 배 가까이나 된다.

● 사막 더위 가고 동남아 더위 오고

지난주 40도에 육박했던 낮 최고기온은 24일까지 내리는 비 때문에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저기압의 영향으로 서울 경기 충청 10~40mm(많은 곳 60mm 이상), 강원 5~40mm 등의 비가 예보됐다. 21, 22일 중국과 몽골의 고비사막에서 발생한 황사가 황사가 23일 오후부터 한반도 상공을 통과할 예정인데 이 때문에 6월에는 보기 드문 황사나 황사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24, 25일 낮최고기온은 30~31도로 지난주보다 다소 내려가지만 체감 더위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앞선 더위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고온 건조한 더위’였다면, 이번 주부터는 습도가 높고 후덥지근한 ‘동남아 더위’이기 때문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습도가 10% 오를 때 체감온도는 1도씩 오른다. 낮 최고기온이 조금 낮아지더라도 ‘덜 덥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습한 더위가 건조한 더위보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말한다. 더우면 흘린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이 내려가는데, 습도가 높으면 열 배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장마철에 접어든 남부 지방과 제주에는 이번 주 계속 비가 내린다. 22일부터 경상 호남 지역도 장마전선(정체전선)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고, 23일에는 제주에 호우특보가 발효되며 천둥 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30mm 이상의 폭우가 내렸다. 24일까지 전라 경상 지역에는 5~30mm, 제주에는 5~10mm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장마전선이 남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며 25, 26일 제주를 중심으로 비가 내리고 27, 28일은 남부 지방에 장맛비를 뿌릴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서울 등 중부 지방에는 7월 초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