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털·이빨 생생…완벽 보존된 ‘4만4000년 전 늑대’ 최초 공개[핵잼 사이언스](영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부검대에 오른 4만 4000년 전 고대 늑대. 2021년 시베리아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뒤 최근 부검이 실시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거의 완벽하게 보존된 상태로 발견된 뒤 4만 4000년 전 고대 늑대에 대한 부검이 실시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부검 및 정밀 검사를 통해 고대 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사이언스타임스 등 외신의 22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고대 늑대 미라는 2021년 러시아 연방 북부 시베리아에 있는 야쿠티아(사하) 공화국 티레크탸크강(江)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됐다. 야쿠티아 내에서도 야쿠츠크는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도 유명한 지역이다.

당시 발견된 고대 늑대는 털과 뼈, 장기, 치아가 매우 양호하게 보존된 성체 수컷으로 확인됐으며, 이후 야쿠츠크 매머드박물관 연구소로 옮겨져 보관돼 왔다.
서울신문

부검대에 오른 4만 4000년 전 고대 늑대. 2021년 시베리아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뒤 최근 부검이 실시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연구소 책임자인 알베르트 프로토포포프 박사는 완벽하게 보존된 외형뿐만 아니라 오염되지 않은 위장에 주목했다. 위장 내부에 남아있는 음식물이나 박테리아 등을 분석하면 4만 4000년 전 늑대의 마지막 식사 및 플라이스토세(홍적세·약 258만~1만 2000년 전)의 생태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진은 고대 늑대의 위장을 열면 수만 년 동안 동결돼 있던 고대 바이러스와 미생물군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으나, 이번 연구가 현대 과학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신문

부검대에 오른 4만 4000년 전 고대 늑대. 2021년 시베리아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뒤 최근 부검이 실시됐다.


부검을 이끈 프로토포포프 박사는 “위장에는 고대 늑대가 마지막으로 먹은 먹이의 잔해가 들어있었다”면서 “이 늑대는 매우 활동적이고 큰 포식자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4만 4000년 전 늑대의 위장뿐만 아니라 화석화된 뼈에서도 살아있는 고대 박테리아를 찾을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한 전문가는 “고대 미생물 군집은 의학과 생명공학에 사용될 수 있는 생물학적 활성 화학물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부검대에 오른 4만 4000년 전 고대 늑대. 2021년 시베리아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뒤 최근 부검이 실시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부검대에 오른 4만 4000년 전 고대 늑대. 2021년 시베리아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뒤 최근 부검이 실시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 실험의학연구소의 아르테미 곤차로프 교수는 “우리는 살아있는 박테리아가 발견된 화석 동물에서 수천 년 동안 생존하여 고대 시대의 증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이번 부검을 통해) 고대 미생물 군집이 어떤 모습인지, 어떤 기능을 수행했는지, 그 구조에서 얼마나 위험한 병원성 박테리아가 나타났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고대 동물에게서는 의학과 생명공학에 응용할 수 있는 미생물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는 미래에 특별한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부검 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송현서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