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기업 총수들, AI 쇼호스트로 618 라이브커머스 참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플래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18 라이브커머스에 등장한 AI 쇼호스트

중국 이커머스 이벤트 ‘618절’은 중국 상반기 최대 쇼핑 페스티벌이다. 징둥(JD.com, 京东)이 2010년 창립 기념일(6월 18일)에 시작한 자체 행사가 글로벌 쇼핑 이벤트로 자리매김한 것.

이번 618에서 징둥은 AI(인공지능)를 적극 활용했다. 특히 ‘디지털 총재 라이브’ 이벤트에 상위 500개 기업 중 절반 이상의 기업 총수가 AI 디지털 인간으로 라이브 방송에 참여해 화제를 모았다.

지난 4월 징둥의 창업자이자 이사회 회장인 리우창둥(刘强东)은 징둥 가전과 가구 판매(京东家电家居采销)와 징둥 슈퍼마켓 판매(京东超市采销) 두 개의 라이브 룸에 AI 쇼핑 호스트 ‘둥꺼(东哥, 둥오빠)’라는 이름으로 동시에 등장했다. 둥꺼는 음색, 외모가 리우창둥과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징둥이 자체 개발한 거대 AI 모델 옌시(言犀)의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두 개의 라이브 룸에 동시에 등장한 리우창둥은 약 40분간 쇼핑 호스트가 되어 라이브를 진행했다.

618절 기간 동안 기업 총재들뿐만 아니라 일반 AI 디지털 쇼호스트들도 대거 참여했다. 징둥의 AI 디지털 쇼호스트 라이브 방송은 38만 시간 이상 진행되었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횟수는 400만 회 이상를 기록했다. 2022년부터 수 천개의 징둥 브랜드 라이브룸에서 AI 디지털 쇼호스트가 투입되어 매일 6-24시간 방송을 진행했다. 현재까지 5천개 이상의 브랜드가 AI 디지털 쇼호스트를 사용한다. AI 디지털 쇼호스트 참여 후 버드와이저의 라이브 매출 전환율은 48%, 만디(蔓迪)의 라이브 매출 전환율은 26.3%, 코치의 라이브 매출 전환율은 13.3%, 찬도(Chando, 自然堂)의 라이브 매출 전환율은 9% 증가했다.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도 AI 디지털 쇼호스트에 적극적이다. 지난해 디지털 마케팅과 광고 플랫폼 알리바바(阿里妈妈)의 AI 풀타임 라이브 방송을 통해 수 백명의 AI 디지털 쇼호스트가 생성됐으며 이들은 판매자의 요구에 따라 이미지를 맞춤화할 수 있으며 다국적 언어와 팬과의 상호 작용도 지원한다.

한편, AI 디지털 쇼호스트 도입에 적극적인 징둥, 알리바바와 달리 텐센트(Tecent, 腾讯), 도우인, 콰이쇼우(快手)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고 있다. 최근 텐센트는 <스핀하오(视频号) 쇼호스트 ‘저품질 콘텐츠 발표’ 실시 규칙>을 디지털 인간과 가상인간 라이브 방송을 규칙 위반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수정했다. 지난 3월 도우인은 <도우인의 주적절한 AI 생성 가상인간의 부정 사용에 대한 처리 공지>에서 크리에이터, 쇼호스트, 사용자, 판매자, 광고주 등이 도우인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할 때 관련 규칙을 꼭 준수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 후 콰이쇼우도 AI 디지털 쇼호스트에 대한 규정을 발표하고 규범에 맞지 않는 AI 디지털 쇼호스트를 사용하여 라이브 방송을 하는 경우 특별 규제를 하며 개선을 하지 않는 판매자는 엄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플래텀

금융서비스 확대중인 바이트댄스

최근 중국인민은행이 허중이바오(合众易宝)가 사명을 ‘도우인즈푸(抖音支付)’로 변경하는 것에 동의했다. 이는 중국 당국이 바이트댄스의 금융사업 확장에 동의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도우인(抖音, 글로벌 서비스명: Tiktok) 운영사 바이트댄스(ByteDance, 字节跳动)는 금융 사업 확장에 집중했다. 지난 2018년에 화샤보험중개회사(华夏保险经纪有限公司)를 인수하여 보험면허를 취득한 후 뉴스 큐레이션 플랫폼 진르터우탸오(今日头条)에 ‘보험’ 기능을 추가했다.

2019년에는 ‘도우인페이’라는 상표를 출원한 데 이어 ‘도메인(douyinpay.com) 등록도 진행했다. 2020년 8월에는 온라인지불사업 면허를 가진 핀테크기업 허중이바오를 인수했으며 2021년 1월에는 도우인페이(抖音支付)를 론칭하고 도우인에 ‘도우인페이’와 ‘전자지갑’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상업 팩토링(Factoring)회사를 설립했으며 10월에는 중롱소액대출회사(中融小额贷款有限公司)를 인수하여 대출 서비스 ‘안심대출(放心借)’, ‘도우인할부(抖音月付)’ 등의 서비스를 출시했다.

지난 4월에는 오프라인지불사업 면허를 가진 A주 상장사 하이롄진훼이(海联金汇)를 인수하여 오프라인 결제 면허까지 확보했다. 하이롄진훼이의 인수가 완료되면 도우인즈푸로 합병될 예정이다. 현재 바이트댄스는 온오프라인 결제, 상업 보험, 담보융자, 소액 대출, 증권 투자 자문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이롄진훼이의 인수로 도우인즈푸 지분 100%를 보유한 바이트댄스의 금융 자회사 톈진통롱(天津同融)의 재무 데이터도 공개되었다. 2023년 말 기준 톈진통롱의 총자산은 697억 3,100만 위안(약 12조원), 순자산은 7억 8,200만 위안(약 1,490억원)이며 2023년 매출은 44억 9,700만 위안(약 8,573억원), 순이익은 7,970만 6,600위안(약 151억원)이다.

플래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팡전쉬엔, PB상품 실적 공개

19일, 동팡전쉬엔(东方甄选)이 베이징에서 진행한 PB상품 신제품 발표회에서 처음으로 직영판매 매출을 공개했다. 동팡전쉬엔은 중국 정부의 강력한 사교육 규제 ‘쌍감(双减)정책’ 시행이후 어려움을 겪던 교육기업 신동팡(新东方)이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동팡전쉬엔으로 업종 전환을 하고 신동팡의 특화 영역인 교육이 가미하여 큰 화제를 모으면서 주목받게 되었다.

동팡전쉬엔은 2022년 4월 공식적으로 PB상품을 출시했으며 2022년 6월-11월간 PB상품 매출은 10억 위안(약 1,906억원) 이상이며 기간내 농산품, 식품, 생활용품을 포함한 65종의 PB상품을 출시했으며 매달 평균 10종 이상을 출시했다.

동팡전쉬엔 상품책임자 동정(董政)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하반기(2023년 12월-2024년 5월) 동팡전쉬엔 PB상품 총거래액(GMV)은 전년동기대비 108%, 전분기대비 74% 증가한 36억 위안(약 6,862억원)을 돌파했다. 현재 PB상품은 400종 이상으로 그 중 약 80%가 농산품이다.

동정은 동팡전쉬엔 PB상품 도우인 계정이 여러 달 연속 총거래액 1억 위안(약 190억원)을 돌파했으며 동팡전쉬엔은 도우인에서 세번째로 단일 월 총거래액 1억 위안 돌파 계정이라고 소개했다. 올해 동팡전쉬엔은 도우인에서 10여 개의 하위 계정을 추가하고 라이브 방송을 오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팡전쉬엔은 도우인 라이브뿐만 아니라 티몰(Tmall, 天猫), 징둥, 핀둬둬(拼多多), 샤오홍수(小红书) 등에도 입점하여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동팡전쉬엔 자체 앱에서는 신제품의 90%를 첫 판매를 시작하는데 앱의 총거래액은 전체 판매 채널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글: 허민혜(min3hui4@platum.kr)

ⓒ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 중화권 전문 네트워크' 플래텀, 조건부 전재 및 재배포 허용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