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 양자기술에 쏠린 '유럽의 눈'…덴마크·프랑스 등 교류 원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퀀텀코리아 2024 현장] 콴델라 "대전에 한국 법인 설립할 것"

머니투데이

애나 요한슨 덴마크 고등과학원 부서장(오른쪽)과 루이제 헤넨베르그 덴마크 외교부 기술외교부 국제양자허브팀장(왼쪽). /사진=박건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덴마크는 모두 양자기술을 핵심 전략기술로 삼고 있는 데다, 훌륭한 양자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습니다. '퀀텀코리아 2024'를 계기로 양국 간 기술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면 좋겠습니다."

루이제 헤넨베르그 덴마크 외교부 국제양자허브팀장이 25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막한 '퀀텀코리아 2024'에 참가해 이같이 밝혔다. 덴마크 양자기술의 R&D(연구·개발)를 총괄하는 애나 요한슨 덴마크 고등과학원 부서장과 양자기술 사업화 및 국제 협력을 총괄하는 헤넨베르그 팀장은 이번 퀀텀 코리아 행사를 통해 한국에 처음 방문했다. 퀀텀코리아 2024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퀀텀코리아 2024 조직위원회 공동주최로 전 세계 양자기술 관련 학계·기업이 모이는 국제 행사다. 25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7일까지 3일간 개최된다.

양자 기술은 통상 양자컴퓨터·양자 센서·양자 통신·양자 센서 등으로 나뉜다. 두 개 이상의 작은 입자가 아무리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언제나 똑같은 양자 상태로 연결되는 현상인 '양자 얽힘' 등을 통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한 통신과 계산 능력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 양자기술, AI(인공지능) 반도체, 첨단바이오를 국가 3대 게임체인저 기술로 꼽고 적극적인 육성 정책을 펴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덴마크는 양자 기술과 관련한 일련의 전문가 그룹을 조성해 행사에 참여했다. 헤넨베르그 팀장은 "덴마크 정부 역시 양자기술을 핵심 기술 산업으로 본다"며 "덴마크 총인구 대비 양자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이 많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덴마크 내 양자기술 기업은 25곳이다. 향후 연구 인력과 첨단 기술 확보를 위해 기술 수준이 비슷한 한국과 교류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요한슨 고등과학원 부서장은 "내년 여름 한국 석·박사생을 대상으로 덴마크에서 양자기술을 공부할 수 있는 '퀀텀 여름 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머니투데이

아르노 리코 콴델라 어플리케이션 팀장(오른쪽)과 자비에르 페레이라 콴델라 CGO(최고환경정책책임자) (왼쪽). /사진=박건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에 기반을 둔 광양자 방식 양자컴퓨터 및 양자 클라우딩 글로벌 기업 콴델라(Quandela)도 조만간 한국 법인을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을 동아시아 지역의 '거점'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콴델라 관계자는 "한국 정부가 양자기술을 육성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는 만큼, 한국이 가장 적합한 사업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각종 연구기관이 밀집해있는 대전시가 유력한 후보지"라고 귀띔했다. 콴델라가 KAIST 등과 연구 협력을 맺고 기술을 개발 중인 만큼 한국 연구기관과 보다 더 가까이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겠다는 것이다. 지난 19일엔 대전광역시와 대덕 양자 플랫폼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또 이날 행사에 참여한 세계적 양자컴퓨터 측정 장비 기업 취리히 인스트루먼트(Zurich Instruments) 관계자는 "한국은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대표적인 양자기술 파트너"라며 "미국, 중국, 독일, 스위스에 이어 다섯 번째로 양자기술 장비 교류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양자 기술연구소 주도로 지난 4월 첫 시연한 20큐비트(Qubit·양자컴퓨터의 단위) 양자컴퓨터에도 취리히 인스트루먼트가 관여했다. 염일남 취리히 인스트루먼트 한국지사장은 "성능이 더 개발된 새로운 측정 장비를 내년 하반기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