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화성 화재 방독장비 없이 투입” 논란에 경찰 “방독면 착용할 환경 아니였다” [e글e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경찰과 소방 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단이 25일 오전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 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현장에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4일 경기 화성시에 있는 리튬전지 제조공장 아리셀에서 큰 폭발로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현장에 투입됐던 한 경찰관이 방독 장비도 없이 근무했다는 글을 올려 논란이다. 경찰 측은 방독면을 챙겨갔지만, 근무지가 방독면을 쓰지 않을 정도로 오염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지난 25일 ‘화성 화재 현장에 나갔던 경찰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 작성자 A 씨는 경찰청 소속으로 인증이 된 상태였다.

자신이 경찰기동대에서 근무 중이라고 밝힌 A 씨는 “경찰기동대 직원들을 화재 연기, 유해 물질로 오염된 현장에 효과도 없는 KF94 마스크를 쓰고 들어가라며 사지로 내몰았다”며 “아프면 병원에 가서 진료받아 보라는 무책임한 지휘부는 그저 고위직이 현장 방문하는 것에 (대응하는 데에만) 급급하다”고 꼬집었다.

A 씨는 “(지휘부가) 아무런 방독, 방화 장비도 없이 밥 먹는 시간 빼고 근무를 세웠다”며 “고위직이 방문할 때 전부 의미 없이 길거리에 세워 근무시키고, 그분들이 가고 나면 그때 서야 다시 교대로 돌려 근무를 시키는 게 무슨 의미인가. 그저 보여주기로 밖에 안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근무를 시킬 거면 최소한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를 지급하고 시켜달라”며 “맨몸으로 투입해 저희가 다른 민간인들과 다를 것 없는 상태로 독성물질 마시게 하며 사지로 내모는 건 생각들이 있는 거냐”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안 그래도 정신없는 와중에 상황실에선 인명피해, 피해 추산액, 소방차 몇 대 왔는지, 심지어 내부에 들어가 사진 찍어 보내라는 둥 그저 청장에게 보고만을 위해 직원들 현장으로 내모는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글이 올라오자 또 다른 경찰청 소속 B 씨는 “몇 년 전 평택 물류창고 화재 때도 화재 현장 지키라고 기동대 경력 근무 세워놓고 마스크는커녕 아무것도 보급 안 해줬다. 방독면 쓴 소방관이 ‘안전 장비 없이 근무해도 괜찮냐’고 먼저 물어보셨을 정도였다”라고 주장하면서 공감을 보냈다.

동아일보

화성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 현장.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10년 전 경찰기동대였던 담배도 안 피우던 친구가 왜 폐암에 걸려 떠났는지 항상 의문이었는데 이제야 그 이유를 알겠다”, “연기 보인다고 신고 들어오면 마스크도 없이 킁킁거리면서 냄새 많이 나는 곳으로 찾아가 불꽃 보이는 발화점 찾는 게 작금의 경찰관 실정” “내 동생도 경찰인데 화재 진압된 현장에 시작점 찾으라고 마스크만 쓰고 들어가라 했다더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경기남부경찰청은 화재가 발생했을 당시 오후 12시부터 기동대 1개 중대(약 70명)를 현장에 배치했다. 이들은 이튿날 오전 7시까지 철야 근무를 한 뒤 다른 기동대와 교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동아닷컴과의 통화에서 “화재 발생 후 해당 기동대에 방독면을 지참해 현장에 가도록 지시했다”며 “다만 기동대 측이 근무할 구역은 방독면이 필요 없다는 환경조사 결과가 나와 방독면을 쓰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뒤늦게 방진마스크를 지급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화재가 진압이 장시간 이어지면서 분진에 대한 우려가 나오자 바로 방진마스크를 공수해 모든 근무자들에게 지급했다”며 “경찰 기본장비에는 방진마스크가 포함되있지 않아 타기관에서 공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현장은 유해 물질 농도가 기준치 이하이며, 교대한 기동대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하고 근무 중”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4일 오전 10시 31분경 화재가 발생했던 아리셀 공장은 22시간여 만에 완진됐다. 이번 화재로 23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 6명이 경상을 입었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