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반도체 경쟁 주도권 확보" 18조원 금융지원 다음달 시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감도. 사진=용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정부가 18조1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다음달부터 가동한다.

정부는 26일 오전 10시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추진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통해 발표한 26조원 규모의 지원 방향을 구체화한 것으로,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초점을 뒀다.

우선, 반도체 기업의 원활한 투자자금 조달을 위해 18조1000억원+α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7월부터 즉시 가동한다. 2027년까지 산업은행에 최대 2조원(현금 1조원+현물 1조원)을 출자해 17조원의 저리대출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다음 달부터 반도체 기업에 대출을 개시할 예정이다. 일반 산업은행 대출 대비 대기업은 △0.8~△1.0%p, 중소·중견기업은 △1.2~△1.5%p 우대금리를 제공해 시중 최저 수준의 금리혜택을 받게 된다.

아울러, 신규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2027년까지 최대 8000억원 조성해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총 1조1000억원으로 확대하고 기업 스케일업 및 대형화를 지원한다. 2025년까지 3000억원을 조성하는 현재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는 금년 7월부터 소부장·팹리스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실제 집행할 예정이다.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적용기한을 3년 연장 추진하고 적용대상도 확대한다. 국가전략기술에 첨단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술을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SW 대여·구입비, 연구·시험용 시설의 임차료·이용료 등을 적용대상에 추가한다. 국가전략기술과 일반 R&D를 모두 수행하는 연구인력에 대해서는 실제 연구시간으로 안분해 국가전략기술 R&D 세액공제율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R&D·사업화·인력양성 등 분야에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약 5조원을 집중 투자한다. 첨단반도체 양산연계형 미니팹 구축사업 등 대규모 R&D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속하게 마무리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AI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해 AI반도체 등 첨단반도체의 실증·상용화 기반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도로·용수·전력 등 반도체 클러스터 인프라를 신속히 조성하고, 공공이 적극적으로 비용을 분담한다. 용인 국가산단 부지를 관통하는 국도 45호선 이설·확장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와 국비지원을 추진한다. 용인 국가·일반산단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통합 복선관로 구축 사업에 대해서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하고, 수자원공사가 관로구축 비용의 일부를 분담할 계획이다.

용인 국가산단의 안정적 가동을 위해 단계별 전력공급도 추진한다. 1단계로 산단 내 LNG 발전소를 건설해 3GW의 전력을 공급하고, 2단계로 장거리 송전선로를 구축한다. 장거리 송전선로의 세부적인 구축 계획을 8월말까지 수립하고, 구축 비용은 공공·민간이 분담할 예정이다.

이지숙 기자 jisuk618@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