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평균 물가상승률 12배"…영화관 '티켓값 인상' 공정위 고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참여연대 등 "3년간 세 차례, 담합 강하게 의심"

영화관 측 "아직도 위기"…누리꾼 "1만 5000원 심하다"

[아이뉴스24 최혜린 인턴 기자]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26일 영화 티켓값 인상과 관련해 멀티플렉스 3사(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를 담합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했다.

아이뉴스24

참여연대,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이 26일 서울 용산 CGV아이파크몰점 인근에서 멀티플렉스 3사의 티켓값 폭리, 담합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들은 이날 멀티플렉스 3사를 담합행위로 공정위에 고발했다.[사진=참여연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여연대,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은 이날 서울 용산 CGV아이파크몰점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멀티플렉스(대형 영화관) 3사의 티켓값 폭리와 담합을 규탄했다.

이들은 국내 영화관 97.8%를 차지하는 멀티플렉스 3사가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2019년 기준 1만 2000원이던 티켓값을 2020·2021·2022년 세 차례에 걸쳐 1천원씩 인상(현재 1만 5000원)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시기 평균 물가상승률(3.2%) 12배에 달하는 인상이라는 평가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1위 사업자인 CGV가 가격을 인상하면 한 두 달 사이에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동일하게 가격을 올리는 담합행위를 3차례나 저지른 것으로 강하게 의심된다"며 "티켓가격을 코로나19 이전으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이뉴스24

참여연대,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이 26일 서울 용산 CGV아이파크몰점 인근에서 멀티플렉스 3사의 티켓값 폭리, 담합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들은 이날 멀티플렉스 3사를 담합행위로 공정위에 고발했다. [사진=참여연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함께한 이하영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운영위원은 "영화제작자들도 돈을 더 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올해 초 천만 관객을 넘은 '파묘'는 객단가(1인당 평균 구매액)가 떨어져 약 105억원 손해를 봤다"며 "티켓값 인하 요구와 더불어 객단가의 정상화, 통신사·카드사 할인 비용 떠넘기기 등이 해결되어야 영화계가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화관 측을 대표하는 한국상영발전협회(KTDA)는 이날 입장을 내고 참여연대 등의 주장을 반박했다.

협회는 "푯값(티켓값)은 철저히 각 사업자의 경영 판단하에 이뤄지며, 관람권 가격이 비슷한 것은 사업적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이라며 "영화산업은 호황기였던 팬데믹 이전에 비해 60%가량만 회복했고,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거나 투자받지 못하는 영화들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화관)경로·국가유공자·장애인·군인 할인 등 모객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투자·제작·배급사와 함께 극장이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가겠다"며 "지금은 한국영화산업 내 투자·제작·배급·극장 등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어들이 모두 힘을 모아 한국영화산업의 정상화를 위한 논의를 해야 할 시기"라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등은 내주 중 불투명한 객단가 산정과 할인비용 떠넘기기 등 불공정행위도 공정위에 신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누리꾼들은 고발 소식에 "그간 가격 때문에 영화관을 꺼린 면이 있다", "이제는 티켓값 내겠다는 말도 못한다", "1만 5000원(티켓값)은 너무 심하지 않느냐"며 참여연대 등에 호응했다.

/최혜린 인턴 기자(imhyell@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