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수천명 동원해 훔치고 파괴”...‘이 나라’ 사이버테러에 미국, 대대적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이버사령부 사령관 겸 국가안보국장
“中, 미국 핵심 기술 훔치고 공급망 교란
국방 산업 보호 위해 사이버 보안 강화해야”

美 연간 3만개 이상 사이버 취약점 발견
주중미국대사도 “SNS 제한하며 반미 선동” 비판


매일경제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볼티모어에서 열린 ‘테크넷 사이버 2024’ 콘퍼런스에 참석한 티머시 호크 미국 국가안보국(NSA) 국장 겸 사이버사령부(CYBERCOM) 사령관이 미국의 국방 산업 기반을 겨냥한 중국의 사이버 공격, 간첩 행위, 파괴공작 등을 비판하고 있다. [출처=테크넷 사이버 202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핵심 국방 산업과 첨단 기술을 노린 중국의 사이버 공격이 이어지면서 미국 외교·안보 분야 주요 인사들이 일제히 중국 정부를 향한 날선 비판과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25일(현지시간) 볼티모어에서 열린 ‘테크넷 사이버 2024’ 콘퍼런스에서 티머시 호크 미국 국가안보국(NSA) 국장은 “중국의 지적재산권 탈취, 중요 인프라 거점 확보, 공급망 교란을 위한 노력은 미 국방부의 국가 방어 능력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다”며 “중국은 수천 명의 정보원, 군사, 무역 인력을 동원해 미국의 방위 산업 기반의 공급망을 교란하고 미국의 지적 재산을 훔치고 시장과 무역 질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호크 국장은 미 공군 장성으로 미국 사이버사령부(CYBERCOM) 사령관을 겸직하고 있다. 그는 “중국은 미국의 핵심 시스템과 국가 인프라를 위험에 빠뜨리면서 미국과 동맹국의 기술 기반에 도전하는 지속적이고 고의적인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며 “중국은 미국 국방 산업 기반의 취약점을 노려 간첩 행위와 파괴공작(사보타주), 절도, 교란 행위를 벌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9월 NSA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한 AI 보안 센터 조사에 따르면 2021년 이후 매년 미국에서 발견되는 사이버 공격 취약점은 2만9000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크 국장은 이날 사이버사령부 내 사이버 임무 수행을 위한 AI 역량을 제공하는 ‘AI 태스크포스’를 신설한다고 밝히면서 사령부 내 AI 역량 제고, AI 도입 활성화, AI 위협 대응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다양한 산업과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민첩하고 정교하게 행동하고 있다”며 “미국의 국가적 우선순위는 국방 산업 기반을 보호하는 것이어야 하며, 반드시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 미 공화당이 새 ‘악의 축’으로 지목한 국가들이 과거 20여년간 벌어진 전 세계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주목받고 있다. 유럽사이버사고저장소(EuRepoC)의 조사 결과 2000~2023년간 세계에서 발생한 사이버 공격의 배후 국가로 지목된 비중에서 ‘미식별 국가’(44.8%)를 제외하면 중국(11.9%)과 러시아(11.6%)가 주로 사이버 공격의 배후에 놓인 국가로 지목됐다. 이란(5.3%)과 북한(4.7%)도 사이버 공격 배후 국가로 지적됐고, 우크라이나(2.6%)와 미국(2.3%)도 ‘반미 블록’에 속한 국가를 대상으로 사이버 반격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다.

매일경제

지난 4월 26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NSA 대응 외에도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를 통해 이례적으로 중국 정부를 겨냥한 외교적 비판을 제기했다.

25일 번스 대사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미·중 정상회담 이래 주중 미국대사관의 양국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공공외교 노력을 중국 정부가 ‘반미 선동’ 펼치며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WSJ에 지난해 11월 양국 정상회담 이후 주중 미국대사관이 주최한 공공행사 61건에 참석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중국 국가안전부나 다른 정부 기관이 참석하지 말라고 압력을 행사하거나, 참석한 중국인을 위협했다고 고발했다.

이어 “이뿐 아니라 대사관의 소셜미디어(SNS) 게시물에 대한 제한을 강화하고 반미 정서를 부추기고 있다”고 말했다.

번스 대사는 거의 모든 공공행사에 심각한 침해 행위가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중 미국대사관이 주최한 여성 기업가정신 관련 패널토론, 다큐멘터리 상영, 문화 공연, 정신건강 전문가 대담 등 다양한 행사에 참석한 일부 중국인들은 중국 당국자들에게 불려가 심문을 받거나, 자택에서 심야시간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번스 대사는 지난 2년간 미국 측이 비용을 지원하는 인적 교류 프로그램에 선발된 중국인 중 절반에 달하는 수십명이 중국 정부, 학교, 회사 등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참가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미국 정부도 중국 외교관들의 미국 내 특정 여행과 출장에 대한 사전 허가를 요구하는 등 활동에 제약을 가하고 있고, 미국 비자를 받은 중국인 학생들도 미국 입국 시 과도한 조사를 받거나 일부는 입국이 불허된다고 반박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지난 2022년 4월 주중대사로 부임한 번스 대사는 국무부 대변인, 주그리스 미국대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주재 대사, 국무부 차관 등을 두루 거친 베테랑 직업 외교관 출신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