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국방과 무기

미 육군 차관보 "한미, 첨단 무기 협력 잠재력 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워싱턴서 한미 방산 협력 대담


미군 고위 당국자가 한미간에 무인 항공기와 전투로봇 분야에서 미래 협력의 잠재력이 크다고 언급했습니다.

더글러스 부시 미국 육군 획득·보급·기술 담당 차관보는 27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한국 방위사업청과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한미동맹 내 방산 협력 증진 잠재력'을 주제로 개최한 대담에서 한미협력의 잠재력이 큰 분야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부시 차관보는 무인 항공기 분야에 대해 "우리는 드론과 새로운 무인 항공기 기술을 최대한 빨리 이용하려 시도하고 있다"며 "우리는 분명히 (한국과) 함께 일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이 점점 더 큰 관심을 갖는 지상 로봇 분야도 있다"며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지상 로봇을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과 첨단 통신 네트워크가 뒷받침되는 이들 두 가지 기술 분야(무인기와 지상 전투로봇)는 모두 한국과의 협력이 중요한 영역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도 "북한의 위협에 직면한 우리(한국)는 출산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향후 충분한 병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한 뒤 "4차 산업혁명을 무기 체계에 적용하고 우리의 전장 환경에서 게임 체인저로 사용해야 한다"며 무인 전투 역량의 중요성에 동의했습니다.

석 청장은 "현재 예산의 상당 부분이 무인 무기 체계 개발에 사용된다"며 한미간의 협력 분야를 모색하고, 협력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무인 무기 체계 부문에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석 청장은 또 한국이 자랑하는 자주포 K-9과 다연장 로켓 천무 등을 거론하며 지상 화력 분야에서 한미 간 협력의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자 부시 차관보는 한국의 K-9 시스템에 대해 "매우 선진적이며, 일부 측면에서 우리의 시스템보다 더 첨단"이라며 자동 장전 역량 등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우리는 여전히 더 긴 사거리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CSIS 홈페이지 영상 캡처, 연합뉴스)

정혜경 기자 choic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