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5 (금)

이슈 국방과 무기

北 코앞서 자주포 140발 ‘쾅 쾅’… 6년 만에 울려퍼진 포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軍, 지상서도 접경지대 실사격 훈련 재개

정부 9·19 합의 효력정지 따라

MDL 5㎞ 이내 훈련도 정상화

K-9·K-105A1 자주포 투입해

연천·철원 일대서 포사격 진행

軍 “기동훈련도 계획대로 실시”

신원식 국방 “9·19, 北에만 유리

北 육식동물·우린 초식동물인 꼴”

군이 해상에 이어 지상 접경지대 일대에서도 포병 사격훈련을 재개했다. 9·19 남북군사합의 이후 약 6년 만이다.

2일 군 당국에 따르면, 육군은 이날 오전 경기 연천군과 강원 철원군 소재 전방 사격장에서 포병 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에는 K-9 자주포 6대와 K-105A1 차륜형 자주포 6대가 투입되어 140발가량을 발사했다. 해당 사격장들은 군사분계선(MDL) 이남 5㎞ 안에 있는 곳이다. 2018년 9·19 합의 이후 포사격 훈련이 이뤄지지 않았던 곳이다.

세계일보

26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도의 한 해병대 포 사격훈련장에서 K-9 자주포가 포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해병대는 포사격 훈련을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전면 중단된 이후 연평도와 백령도에서 포사격 훈련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19 합의 당시 남북은 MDL 5㎞ 이내에서 포병 사격훈련 및 연대급 이상 야외 기동훈련을 전면 중지하기로 했다. 훈련이 중단됐던 곳은 경기 연천군 적거리사격장과 강원 화천군 칠성사격장, 경기 파주시 스토리사격장 등이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사격장을 쓸 수 없게 되면서 최전방 부대들은 MDL에서 먼 곳에 있는 후방의 다른 사격장을 이용해야 했다. 장비와 병력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 문제와 더불어 훈련을 하고자 하는 부대들이 사격장에 몰리면서 훈련 규모나 빈도 등도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북한이 지난 5월 말부터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교란 등의 도발을 감행하면서 정부는 지난달 4일 9·19 합의 효력의 정지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전방 지역에서의 사격 훈련이 가능해졌다.

세계일보

구호 외치는 아크부대 23진 2일 오전 인천 계양구 국제평화지원단에서 열린 ‘아크부대 23진 파병 환송식’에서 아크부대원들이 구호를 외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아크부대 23진은 아랍에미리트(UAE)로 파병돼 8개월간 군사훈련 및 협력, 재외국민 보호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인천=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군은 최전방 부대들이 9·19 합의가 유지되던 시절처럼 후방에서 훈련하는 것보다는 실제 작전 지역에서 훈련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 육군은 “정부의 9·19 합의 효력 정지로 훈련이 정상화됨에 따른 첫 지상 사격 훈련”이라며 “적 도발 시 대응 능력 및 화력 대비 태세 강화에 중점을 두고 시행했다”고 밝혔다.

군은 9·19 합의로 시행하지 않았던 MDL 인근에서의 대규모 야외 기동훈련과 육·해군 합동 사격훈련 등도 조만간 서부전선과 동부전선 일대를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육군 차원의 사격훈련도 부대별로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를 진행한 뒤 실시하게 된다. 육군 서우석 공보과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앞으로) 부대별로 사격 일정을 잡아서 훈련을 진행할 것”이라며 “여단급 이상 부대의 기동훈련 등도 계획대로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해병대사령부는 26일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K-9 자주포가 사격하는 모습. 해병대사령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병대의 서북도서 정례 K-9 자주포 해상사격훈련은 지난달 26일 재개됐다. 서북도서 해병대 부대는 그동안 K-9 자주포를 내륙으로 옮겨서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다만 북한이 우리 군의 최전방지역 훈련 재개에 대해 반발할 경우 MDL과 NLL을 중심으로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위험도 있다. 이에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회 대정부질의에 출석해 9·19 군사합의에 대해 “북한에는 일방적으로 유리하고 대한민국에는 일방적으로 불리한 합의”라고 말했다. 신 장관은 “동물로 비교하면 북한은 육식동물이고 대한민국은 상대 동물을 공격하지 않는 초식동물”이라며 “육식동물과 초식동물 사이에 있는 울타리를 허물고 CCTV를 허물어서 평화롭게 살자?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