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 2월5일 경북 상주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지역 일대를 방문해 야생멧돼지 폐사체 방역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열화상 드론과 위치추적장비(GPS)를 탑재한 포획 트랩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8일 “경북지역 야생멧돼지 ASF 남하 저지에 총력을 다하겠다”면서 대응책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ASF 발생 지자체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상주시, 영천시, 군위군과 인접 지역인 김천, 구미, 칠곡, 청도, 경산, 경주 등 9개 시군에 10개 감시팀을 투입해 야생멧돼지 포획·수색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감시팀은 열화상 드론으로 야생멧돼지 체온을 감지해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 포획할 계획이다. GPS가 탑재된 포획트랩도 200개 늘려 총 900개를 배치한다. 또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산악 지대, 깊은 숲속 등에 있는 폐사체도 발견할 수 있도록 탐지견 8마리를 상시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 2월 마련한 ‘ASF 인위적 확산 방지대책’의 이행현황도 점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수렵인, 포획도구 등을 대항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고 양성 반응이 확인될 시 포획 활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SF는 지난 2019년 10월 최초 발생한 뒤 지난 5일까지 43개 시군에서 총 4108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865건, 2021년 964건, 2022년 878건, 2023년 735건 발생했다. 올해는 1월부터 지난 5일까지 620건 확인됐다.
이홍근 기자 redroot@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