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8.07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우크라戰 판세 흔드는 ‘드론’…‘전쟁 경제학’마저 바꾼다 [★★글로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볍고 민첩한 우크라 무인기 공격
골리앗 러에 대항 효과적 전술체계
드론 스타트업 등 기술·생산능력 확대


매일경제

우크라이나군이 전쟁 초기 사용한 대만산 드론 리볼버 860 이미지 <출처=드론비전>


“비싸고 무거운 첨단 무기는 실전에서 사치다. 가볍고 즉각 기동하는 수 십달러짜리 무인 드론이 수 천만달러짜리 무기를 압도할 수 있다.”

개전 2년 반을 맞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무인기 전술 가치가 부상하며 전쟁의 경제학을 바꿔놓고 있다. 세계 2위 군사 대국인 러시아에 압도될 것으로 보였던 우크라이나가 저가 무인 드론으로 기대 이상의 선전을 하면서 러시아 군 시설은 물론 정유공장 등 사회기반시설까지 위협하고 있다.

뒤늦게 드론의 위력을 실감한 러시아가 중국과 이란산 드론을 대거 수입하는 등 양측의 드론 고도화 경쟁이 가열차게 전개되고 있다. 거대 방산기업이 기술과 생산을 독점하는 첨단 무기체계에 수 십조원을 써왔던 국가들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게임체인저로 부상한 드론발 판세 변화를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저가 드론으로 수 십억원 러 장갑차 무력화
13일 뉴욕타임스(NYT),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보도를 종합하면 우크라이나 소규모 기업들의 드론 생산 역량이 확대되면서 러시아에 중대한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개전 초기 우크라이나는 튀르키예산 드론 ‘바이락타르 TB2’를 비롯해 미국의 ‘스위치 블레이드’ 등 외국에서 제공 받은 무인기로 러시아군을 정밀타격할 수 있었다. 보다 고도화하는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탱크, 장갑차는 물론 탄약고와 식량창고 등 후방 주요 보급선에서도 러시아는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이와 관련해 우크라이나군은 지난 4월 폴란드산 자폭 드론 ‘워메이트’를 이용해 러시아군 레이더를 파괴하는 영상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3600만원대 드론으로 100억원이 넘는 첨단 무기 체계를 보기좋게 무력화한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비단 수입 드론 뿐 아니라 우크라이나는 자체 생산 역량과 기술 고도화에 힘을 쏟고 있다. 수도 키이우에서 활동하고 있는 드론 제조사인 비리(Vyriy)는 한 달에 6000대 이상 자폭 드론을 생산하고 있다.

매일경제

우크라이나 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자체 생산하고 있는 자폭 드론의 제작 방식 이미지. <출처=로이터>


이 회사의 FPV 드론은 월마트 장난감 코너에 있는 것들과 유사해보이지만 최대 시속 100마일로 비행하며 장갑차를 무력화시키는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900만 달러의 비용이 드는 러시아 전차 한 대와 고작 400달러가 투입되는 우크라이나 드론을 비교하며 블룸버그통신은 “FPV 드론이 지상전의 경제성을 바꾸어 놓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들어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내 주요 정유시설이 파괴되는 사례가 늘자 급기야 미국 정부가 나서서 우크라이나에 드론 공격을 자제할 것을 요구하는 기현상도 빚어졌다.

세계 최대 산유국 중 하나인 러시아 석유 시설이 타격을 입을 경우 국제 유가가 요동칠 가능성을 염려한 것으로,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이 우크라이나 보안국(SBU), 국방부 산하 정보총국(GUR) 고위 관리들에게 드론 공격 중단을 반복해 요구했다고 지난 3월 보도했다.

서방, 러 유입 중국산 드론은 틀어막고
대만의 경우 개전 초기 우크라이나에 공격용 드론 ‘리볼버 860’ 800대를 지원했다. 폴란드를 통해 우크라이나군에 인도된 해당 기종은 공중에서 적을 향해 박격포탄을 발사할 수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을 상대로 군사용 드론을 핵심 비대칭 전력으로 키우고 있는 대만 입장에서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확인되는 드론의 전술적 가치가 자국의 무기체계 고도화에 중요한 방향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에 맞서 러시아도 드론 전술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개전 후 러시아에 유입된 중국산 드론은 총 26종으로 수입액은 156억원에 이른다.

매일경제

우크라이나군이 자폭 드론을 구동하고 있는 모습. <출처=우크라이나 육군 참모본부>


NYT는 “카자흐스탄·파키스탄·벨라루스 등 러시아에 우호적인 다른 나라로 흘러 들어간 비공식적 물량을 포함하면 러시아 내 수입 규모 더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러시아군에 유입되는 해외 드론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도 행동에 나섰다. 지난 5월 중국과 홍콩 기업 20곳을 제재 리스트에 올린 것. 해당 업체들은 프로펠러, 엔진, 센서 개발사들로 러시아의 드론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수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이스라엘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가 사용하는 이란제 드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난해 자국 무인기 교란 체계의 우크라이나 수출을 승인했다. 해당 장비는 드론이 쓰는 전파를 방해하고 요격하는 전자전 장비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우크라이나의 대러 방어 능력을 도울 수 있는 한국의 어떤 지원도 환영한다는 입장을 최근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 결과가 유럽은 물론 (북러 관계 심화 등) 한국에도 전략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우크라이나의 방어 능력 향상을 위한 어떤 지원도 환영을 받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마무리된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의 대 우크라이나 신탁기금을 두 배로 증액해 2400만 달러(약 331억원)를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