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06 (금)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그냥 쉰다’ 일도, 구직도 안하는 대졸자 400만명 ‘역대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붐 비는 청년취업설명회.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대졸자가 올해 상반기에 한달 평균 4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졸 이상(전문대 포함)의 학력을 가진 비경제활동인구는 월평균 405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만2000명 늘었다. 1999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은 규모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이다. 육아·가사·연로·심신장애와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취업을 포기한 구직 단념자, 고용 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쉬었음’도 비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코로나19가 확산됐던 2021년 상반기(월평균 404만8000명)에 처음 400만명을 넘어선 뒤 이듬해 13만6000명 줄었지만, 다시 2년째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전체 비경제활동인구는 상반기 기준으로 2022년 이후 3년째 감소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기준, 전체 비경제활동 대졸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5.1%로, 처음 25%를 넘어섰다.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 4명 중 1명 이상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대졸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20대가 주도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대졸 이상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월평균 59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00명 늘었다.

통계청은 고학력 비경제활동 인구 중 최근 1년 이내 일을 하거나 구직 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단기 비경제활동’ 비중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구직시장을 떠나기 직전 도소매·사업시설 관리 등 업종에서 주로 일했고 직업군·종사상지위 기준으로는 사무직·단순노무직·임시직 비중이 크다.

반면 전문가나 기술이 있는 고학력자는 일자리를 잃어도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지지 않고 구직 시장에 남아 ‘실업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적으로 질이 나쁜 일자리에 있던 고학력자일수록 구직을 포기하거나 재교육 등을 위해 구직 활동을 접는 것이다. 청년·고학력자 중심의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결국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 상당 부분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청년들의 첫 일자리가 계약 기간 1년 이하인 임시·일용직인 경우도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지난 5월 기준, 학교를 졸업하거나 도중에 그만둔 뒤 취업한 경험이 있는 청년(15∼29세) 376만5000명 중 첫 일자리가 계약기간 1년 이하의 임금근로 일자리였던 청년은 31.4%(118만1000명)였다. 이는 임시·일용직을 첫 일자리로 시작한 청년의 비중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청년층 고용률이 46.3%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세 번째로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일자리의 질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