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돌비뉴스] "이런 XX들이!" 대놓고 욕설에도 '잠잠'…국민의힘도 '무관심' 필리버스터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무관중 필리버스터? >

[기자]

국민의힘, 방송관계법 4건에 대한 처리를 막기 위해서 지난 25일부터 필리버스터를 진행 중입니다. 지금도 진행하고 있죠.

내일(30일) 끝날 거로 예상되기 때문에 5박 6일 정도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말 국민의힘조차 그 자리에 없었던 상황이 있었습니다.

그러자 의장이 직접 나와서 비판했는데 한번 들어보시죠.

[우원식/국회의장 (지난 27일) : (국민의힘 의원) 누구 한 분이라도 와서 좀 들어야 어떤 논거로 (야당이) 찬성하고 있는지 당에 전달할 거 아닙니까? 이렇게 제가 한참 지켜봤는데 단 한 분도 안 계시는 건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필리버스터를 제기하지 마시던지…]

[앵커]

그러니까 여당이 신청한 필리버스터인데 정작 자리를 지키지 않았다는 거군요. 그런데 여당이 이렇게 한 특별한 이유가 있었습니까?

[기자]

일단 필리버스터는 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인 의사진행 방해를 얘기합니다.

회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면 시간을 끌어서 법안을 폐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있지만 지금 같은 경우에는 불과 하루이틀 정도 법안 통과를 미루는 정도라서 효과가 좀 적다. 그러다 보니 여당에서도 막상 신청해 놓고 의지가 좀 약한 거 아니냐 이런 분석들 나오고 있는데요.

어쨌든 여당에서는 정책 토론이 아니라 여당을 비판만 하기 때문에 자리를 비웠다, 이런 해명도 했습니다. 실제로 당시 박 의원이 여당을 향해서 잠깐 비속어를 썼는데 그 장면 한번 보시죠.

[박선원/민주당 의원 (지난 27일) : 의장님 계세요? 아, 예 죄송합니다. 좋은 말 쓰겠습니다. 의장님 안 계시면 나쁜 말 한번 쓰려고 했습니다. 이런, 정말! XX들이!!]

[이학영/국회부의장 (지난 27일) : 의원님들. 국민들은 다 보고 계십니다. 그러니까 국민들 보고 계시니까…]

[앵커]

지금 마이크를 이렇게 치우고 욕설을 한 건가요?

[기자]

마이크를 끄고 했기 때문에 아마 속기록에는 남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데 참고로 토요일(27일) 오후에 저 장면이 나왔는데 국민의힘 비판 논평은 오늘 오후에서야 나왔습니다.

참고로 이달 초였죠. 김병주 민주당 의원이 "정신 나간 국민의힘 의원들"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곧바로 논란이 된 적이 있었는데 그에 비하면 상당히 이례적인데 그만큼 이번에 필리버스터에 대해서 정치권 모두가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는 거 아니냐 이런 분석이 나오고 있는 겁니다.

참고로 박선원 의원, 10시간 넘게 현재로서는 최장 기록을 기록했는데 그 과정이 길다 보니까 노래도 하고 또 특정인 성대모사도 한 이런 진풍경 벌어졌습니다. 계속해서 보시죠.

[박선원/민주당 의원 (지난 27일) : 열심히 국회의원들이 일할 줄이야…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하면 안 되겠죠. 이렇게 하면 또 (국회의장이) 그러지 마 이러셔서…예전엔 미처 몰랐습니다! 이 박지원이 언론은 지원한다 해서 박지원이다!]

[우원식/국회의장 (지난 27일) : 박선원 의원. 하고 싶은 말은 많겠으나 토론에 집중해 주십시오.]

[앵커]

필리버스터가 처음 시행됐을 때와 분위기가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제도가 좀 퇴색했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2016년이었죠. 민주당이 테러방지법에 반대한다면서 처음으로 시행했을 때만 해도 주말에도 저렇게 일반인 방청석이 꽉 차면서 '민주주의 학교다' '산교육장이다'라는 평가까지 나왔는데 계속 제도가 진행되면서 상당히 부식되고 있다.

특히 지금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계속되고 또 거대 야권에서는 협의와 합의를 통한 법안 통과보다는 속도전을 통한 처리를 하다 보니까 무제한 토론의 순기능이 상실되고 주목받지 못한다. 정쟁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비판들이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이성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