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비전, 3대 전략, 7개 방안 제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 ‘보완’보다는 ‘우회’
북한 호응 가능성, 매우 낮게 점쳐져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경축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8·15 통일 독트린’을 발표했다. 통일의 지향점을 ‘자유 통일’로 못 박고, 통일의 주체를 ‘북한 주민’으로 삼은 것이 특징이다.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며 통일 포기를 선언한 북한 김정은 정권을 상대로, 남한과 북한 주민이 함께 공세적으로 통일을 만들어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는 북한 정권의 내부 붕괴론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북한 정권이 이에 호응할 가능성은 매우 낮게 점쳐진다. 또 윤 정부를 포함해 역대 정부가 계승해온 ‘민족공동체 통일방안’(공식명칭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과 모순되는 지점도 있어, ‘흡수통일’의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통일 독트린은 ‘북한 주민에게 자유를 촉진한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독트린은 ‘자유’ 등 3대 비전과 ‘북한 주민에게 자유 통일에 대한 열망을 촉진한다’는 등 3대 전략을 골자로 한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통일은 정권 간 인위적인 협상이 아닌, 대한민국 국민과 북한 주민이 자유평화 통일의 주체이자 추진세력으로서 이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헌법 4조(자유민주적 질서에 입각한 통일 지향)과 헌법 3조(대한민국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를 근거로 삼은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인 실현방법은 7개다. 이 중 남·북간 ‘대화협의체’ 설치 제안과 인도적 지원은 북한 정권을 카운터파트로 삼는다. 김 차장은 “대북 인도지원과 대화협의체는 북한 당국의 호응이 필요하다.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나머지는 교육·연구 활성화, 펀드 조성 등 북한 인권 개선, 민간단체의 대북방송 등 북한 주민의 정보접근권 확대, 북한이탈주민 역할 확대, 기존 ‘한반도 국제포럼’의 확대 등 5개다. 대화협의체 설치를 제안한 것 이외의 방안은 기존 정책을 확대한 것에 불과하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그간 추진해왔던 과제들을 종합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평가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통일 독트린이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보완하는 것이라 강조했다.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김영삼 대통령이 1994년 선언한 것으로, ‘자주·평화·민주’를 기본원칙으로 두고 ‘남북 화해·협력 → 남북연합 → 통일국가 완성’이라는 단계적 통일을 추구한다.
하지만 통일 독트린은 사실상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우회’한 것에 가깝다. 김 차장은 “(통일방안이 발표된지)30년이 흐른 지금도 전체주의 권위주의 세력의 자유민주주의 규범 기반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이 지속되고 있다”며 “북도 그런 세력의 일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 정권의 선의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선제적으로 실천하고 이끌어 나갈 행동 계획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의 지향점을 ‘자유 통일’로 못 박음으로써 남·북 협력의 공간은 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서 통일 지향가치를 명시하지 않았던 이유는 남북간 대화의 공간을 열기 위한 조치였다. 협력을 위해 ‘전략적 모호성’을 택한 것이다. 그러나 ‘자유 통일’이란 가치를 못 박음으로써, 북한이 이에 호응할 여지는 크게 줄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통일의 주체에서)북한 당국을 인위적으로 배제한 것은 북한 내 주민혁명을 일으켜 통일을 달성하겠다는 것으로 북한 체제 붕괴론과 연결된다”며 “흡수통일을 공식화한 의도가 다분하다”고 말했다.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폐지가 아니라 ‘보완’이라고 정부가 강조하는 이유는 이를 폐지할 경우 야당과 시민사회의 거센 반발을 받을 것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통일 실현 방안에도 북한이 불편해할 내용이 다수 담겼다. 북한은 인권에 대한 문제제기를 정권에 대한 공격으로 인식하며, 대북 방송 등 주민들의 정보접근권 강화는 2020년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제정 등으로 외부 문화 유입을 차단하려는 북한 정권의 흐름과 정면 배치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결국 북한 정권을 붕괴시키겠다는 의미”라며 “통일 담론이라기 보다는 상대를 제압하는 메시지”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북한 정권이 대화 제의나 인도적 지원에 응할 가능성은 매우 낮게 점쳐진다. 정부는 지난 1일 압록강 유역 수해에 물자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북한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적은 변할 수 없는 적”이라며 남한에 대한 비판을 이어간 바 있다. 오는 19일부터 치러지는 한·미연합 군사연습도 북한에게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간접적인 방식의 지원도 있으니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면 공간이 열릴 수도 있다”며 “레토릭으로 남을지, 실질적 조치로 이러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유새슬 기자 yooss@kyunghyang.com, 정희완 기자 rose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