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수 전 기재부 장관, '한국경제 도전실록' 강연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로 양도세 등 세금 확보 가능"
"환율 시장에 맡겨선 안돼…韓, 기축통화국과 달라"
"정부청사 과천 이전해 IMF 위기"…세종청사 이전 혹평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 모습. 2024.08.13. km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대한민국 경제사의 큰 소용돌이에 맞섰던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현금성 재정지출보다 상속세나 개별소비세 인하 등 감세 정책을 펴는 것이 낫다고 강조했다.
세수부족 사태가 지속되자 부가가치세율을 인상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반대 입장을 피력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에 대해서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세금"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강만수 전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에 위치한 세종컨센션센터에서 기재부 과장급 직원들과 언론을 상대로 '현장에서 본 한국경제 도전실록' 강연을 열고 이 같은 주장을 쏟아냈다.
그는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및 종부세 폐지 등 감세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전 장관은 "감세정책이든 증세정책이든 세금을 많이 받기 위한 전략"이라며 "감세정책만 하면 부자감세라고 하는데, 감세정책은 다 성공했고 재정지출 정책은 실패했다는 논문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25만원 민생지원금과 관련해 "전국민 지원보다 25만원 감세가 더 낫다"고 주장했다.
상속세와 관련해 강 전 장관은 "대영제국이 망한 이유는 70% 고율의 상속세 때문"이라며 "상속세 최고세율을 낮추고 실제로 피상속인이 해당 자산을 양도하면 양도소득세를 매기는 식으로 세금을 더 걷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전 장관은 "R&D(연구개발) 투자를 GDP의 5% 목표로 해서 다른 나라에 없는 3단계 지원제도를 만들었다"며 "당시에 어떻게 똑같은 일에 세금 혜택을 세 번 주느냐고 반대하는 입장이 있었으나 '트라이얼 앤 에러(trial and error·시행착오)'라고 말하자, 그런 취지라면 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자신의 저서 '한국경제 도전실록' 출간 기념 북콘서트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2024.08.13. km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시 R&D 세액공제는 준비단계에서 매출액의 3%를 손금산입 준비금으로 쌓고, 투자단계에서 10% 세액공제를 하고 지출단계에서 지출액의 25%, 지출증가액의 50%를 세액공제해 제도를 모두 활용하면 법인세가 대부분 면제되는 수준으로 설계됐다. 강 전 장관은 "결국 삼성전자가 폭스바겐이 이어서 세계 2위 수준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R&D를 하게 되지 않았나"라고 반문했다.
강 전 장관은 "요즘 부가세 올리자는 논의가 있는데, 부가세 때문에 부마사태가 일어났다"고 언급했다.
그는 "조세가 성공하려면 국민 심성에 맞아야 한다"며 "유럽은 부가세가 10%, 15%였지만 한국사람의 심성에는 10%가 맞아 기꺼이 낼 수 있는 세금"이라고 했다. 그는 "세입이 모자라면 개별소비세 세율을 올리거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옳지 부가가치세에 손대는 것은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강 전 장관은 환율 정책과 관련해서는 "조심스러운 이야기지만 IMF 회원국 중 환율을 시장에 맡기는 나라가 어디 있느냐"며 "1985년 일본의 엔화가 달러 대비 240엔에서 120엔으로 떨어진 것이 시장에 의해서 그렇게 된 것이냐고 물으면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당시 강 전 장관이 추진했던 고환율 정책은 물가를 자극하면서 민생고를 가중시켰고, 결국 강 전 장관이 물러나는 계기가 됐다.
강 전 장관은 "우리는 1달러를 벌기 위해 땀을 흘려야 하는데 미국은 찍어내면 된다"며 민생고에도 물가를 자극하는 고환율 정책을 펼쳐야 했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IMF 위기 당시에 물가와 환율을 잡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다 써버렸고, 역설적으로 외환위기가 왔다"며 "당시에도 부산, 제주에 가는 것보다 동경에 가는 편이 쌌는데, 2007년에도 똑같은 말이 언론에 돌았고, 이제 똑같은 현상을 세 번째 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정부청사를 과천으로 이전하면서 사무관들의 감이 떨어졌고 결국 IMF 위기가 왔다고 보는데, 이제 여기(세종)까지 왔다"며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기획재정부가 입주한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의 모습. 2023.02.14. ppkjm@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