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3회 연속 동결 전망
가계 빚·집값 치솟아 인하 부담
가계 빚·집값 치솟아 인하 부담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22일 기준금리는 동결에 무게가 실린다.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들썩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망대로라면 지난해 2월 이후 13차례, 한은 설립 이래 가장 긴 연속 동결 기록이다.
눈여겨 볼 점은 소수의견 등장 여부와 향후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자간담회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달 22일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금통위는 지난해 1월 0.25%포인트 인상을 마지막으로 2월부터 올해 7월까지 12회 연속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째 2%대를 보이고 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고물가와 고금리 장기화에 민간소비와 투자 등 내수부진을 우려하는 정부의 금리 인하 압박도 거센 상황이다.
지난 금통위에서도 이전까지 1명이던 ‘3개월 후 인하 가능성’ 의견이 2명으로 늘면서 어느 때보다 소수의견 등장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한은이 들썩이는 집값과 급격이 불어나고 있는 가계부채로 인해 섣불리 금리 인하를 결정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서울 주택 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은 전월보다 0.76% 상승해 상승폭은 2019년 12월(0.86%) 이후 가장 컸다.
또 1년 후 주택가격이 지금보다 더 오를 것이라는 소비자전망이 2년 10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8로 전월보다 3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최고치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한다.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더 크다는 의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14일까지 4조 2342억원 늘었다. 금통위가 금리를 낮췄다간 주택 가격과 가계대출을 자극, 집값 급등의 원흉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결국 금통위는 이번에도 현상 유지를 결정하며 집값을 경계하는 다소 매파적인 메시지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8월 채권시장지표(BMSI)’에 따르면 지난 9~14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62개 기관, 1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90%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9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우세한 상황에서 국내 내수 부진 우려가 더해져 이달 금통위의 기준금리 하락에 대한 예상이 전월에 비해 증가했다”면서도 “가계부채와 부동산 리스크 우려 등으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여전히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 = 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7월 금통위에서 “한은이 금리 인하의 시점에 대해서 잘못된 시그널로 기대를 크게 해서 주택 가격 상승을 촉발하는 그런 정책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시장에선 대체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대로 9월 정책금리를 낮추면 한은도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에 따른 가계대출·부동산 안정 여부 등을 모니터링 한 뒤 10월이나 11월께에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날 한은은 수정경제전망도 발표한다.
시장에서는 올해 성장률을 종전과 같은 2.5%로 제시할 가능성을 높게 본다. 내수 부진에도 반도체 경기 개선세에 따른 수출 호조 영향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소폭 낮추거나 종전 전망치인 2.6%를 유지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