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4 (토)

"전기차, 내연기관차보다 불 덜 난다"…팩트체크 나선 현대차그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지난 1일 인천 청라동의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이후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포감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실제 근거와 동떨어진 억측으로 확산된 전기차 관련 오해를 풀기 위해 현대자동차그룹이 작심하고 해명에 나섰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29일 발표한 참고자료를 통해 "전기차는 화재가 잦은 차가 아니며 안전한 이동수단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강조했다.

현대차·기아는 그동안 자동차 시장 안팎에서 잘못 유포된 허위 정보나 전기차와 관련된 석연찮은 오해로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전기차 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 사실관계 확인을 통한 오해 불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가 언급한 첫 번째 사실관계는 '전기차는 과연 불이 자주 나는 차인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공식 등록된 자동차 1만대 기준 화재 발생 비율을 따졌을 때 전기차의 화재 발생 비율이 내연기관 엔진으로 가는 일반 자동차의 비율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소방청이 집계한 자동차 화재 관련 통계에 따르면 전기차의 보급 대수가 10만대 미만이던 2019년의 전기차 1만대당 화재 발생 비율은 0.33%였고 일반 자동차 1만대당 화재 발생 비율은 1.98%였다.

전기차의 보급이 본격화된 지난 2021년부터 전기차 1만대당 화재 발생 비율은 1%대로 늘어났지만 1.4%를 넘지 않았다. 반면 내연기관 자동차 1만대당 화재 발생 비율은 1.8%를 상회하고 있다. 통계상으로 보면 화재 우려가 큰 차종은 오히려 내연기관 자동차인 셈이다.

또한 실제 전기차의 화재 원인 중 고전압 배터리의 가동 이상으로 불이 난 사례는 현저하게 적다는 점도 설명했다.

소방청 통계에 잡힌 화재 사건의 원인을 보면 충돌 사고, 외부 요인, 전장 부품 소손 등이 대부분이고 전기차 화재로 분류되는 사건의 집계 대상 역시 승용 전기차를 포함해 초소형 전기차, 초소형 전기화물차, 전기 삼륜차까지 함께 집계되므로 표본의 기준도 모호하다.

현대차·기아 측은 "전기차의 화재 건수가 잦다는 생각은 통계를 일차원적 시각에서 해석하다가 발생한 오해"라고 해명했다.

두 번째 사실관계는 '전기차는 한 번 불이 나면 도통 끄기가 어렵다'는 이야기다. 이에 대해 현대차·기아는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고 밝혔다.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차 화재와 마찬가지로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실제로 외부 요인으로 인한 전기차 화재의 대부분에서는 배터리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아울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팩은 고도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춰 배터리 이외의 요인으로 불이 났을 때 불씨가 쉽게 옮겨붙지 않으며 화재의 근원이 배터리일 경우에도 최신 전기차에는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키는 기술이 탑재돼 조기 진압 시 화재 확산 방지가 가능하다.

조선호 경기소방재난본부장은 지난해 7월 실시한 전기차 화재 진압 시연회에서 "전기차 화재의 초기 진압이나 확산 차단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더 어렵지는 않다"며 전기차 화재 진압이 내연기관차 화재 진압보다 더 오래 걸린다는 오해에 대해 해명한 바 있다.

화재 완전 진압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려서 피해가 크다는 오해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단시간 내에 전기차 화재 초기 진압을 마쳐도 이후 혹시 모를 배터리 화학 반응에 대비해 차를 일정 시간 소화수조에 담가 놓거나 질식포로 덮어 모든 배터리 에너지가 소모될 때까지 관리한다.

다만 이 과정은 소방청 관리 아래서 안전하게 이뤄지는 만큼 돌발적 변수나 소방당국의 부주의로 인해 주변에 화재 피해가 커지는 일은 사실상 없기에 화재 진압 시간 장기화에 대해 지나치게 불안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각 건물의 지하주차장에 세워둔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고 해도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켜진다면 배터리 열폭주 가능성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기 때문에 무작정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진입을 막기보다 스프링클러의 정상 작동 여부부터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동안 퍼진 전기차 화재 진압 관련 오해는 적절한 전기차 화재 진화 지침이 없었던 2010년대 후반의 사례에서 비롯된 것이며 현재는 여러 진압 방식이 등장한 만큼 과거의 오해에 사로잡힐 이유가 없다고 해명했다.

특히 소방 기술 관련 업체들이 전기차 화재 진압 시간을 10분 안팎까지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만큼 이 기술이 대중적으로 보급되면 전기차 화재의 진압 시간은 더 단축될 뿐 길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국가별로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전기차는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인류의 이동수단 혁신에서 필수 불가결한 도구가 될 것"이라며 "완성차 업체, 배터리 제조사, 정부 등 사회 각계의 노력으로 전기차 관련 오해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배터리 제조사와 함께 전기차의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를 통한 사전 진단으로 더 큰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배터리 이상징후 통보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도 강화할 것"이라고 첨언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