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산업생산 석달째 뚝 깊어지는 내수 부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 부진으로 전체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가라앉았다. 기업 설비투자가 늘었지만 항공기 8대 수입에 따른 일시적 효과가 컸고, 소비도 전반이 위축되면서 내수 부진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정부는 '내수 회복 조짐'이라는 평가를 이어가고 있지만 지표상으로는 제대로 된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통화당국이 서울 아파트 값을 이유로 금리 인하 시점을 놓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통계청은 30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지난달 전산업생산이 한 달 전보다 0.4%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산업생산은 4월만 해도 1.4% 증가했지만 5월(-0.8%)에 감소로 돌아섰고, 6월(-0.1%)에 이어 7월에도 줄었다. 전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22년 8~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산업생산이 감소세를 이어간 데는 제조업, 그중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 부문이 위축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7월 제조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3.8% 줄었다.

이번 산업동향에서 또 주목할 지점은 내수지표 악화가 지속됐다는 점이다. 재화소비 모습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1.9%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올해 4월(-0.6%)과 5월(-0.2%) 연속 감소했다가 6월에 모처럼 1.0% 증가했는데, 한 달 만에 다시 꺾였다. 설비투자가 10.1% 늘긴 했지만, 중·대형 항공기 도입으로 운송장비 부문에서 50.5% 급증한 영향이 컸다. 이를 제외하면 설비투자는 2.3% 증가에 그친다.

특히 소매판매가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전월보다 1.9% 줄었다. 내구재와 비내구재 구분 없이 일제히 감소해 내수 부진을 쉽게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16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이 보인다"고 밝혔던 것과 배치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통화정책이 내수를 살리는 효과를 내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한데, 이번에 당국이 실기(失期)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희조 기자 / 한상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