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제 22대 총선

‘서울시교육감’ 출마 김재홍 前 총장 “조희연과 민주진보 교육이 이룬 것 지속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재홍 前 서울디지털대 총장 인터뷰

“인성·사회 교육으로 경쟁주의 타파”

“딥페이크 범죄야말로 교육의 문제”

헤럴드경제

김재홍 전 서울디지털대 총장이 지난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정권은 유한하고, 정치가 잘못돼도 치유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교육이 한 번 길을 잘못 들면 국가 백년대계가 무너지는 것입니다.”

오는 10월 16일 서울시 교육감 재보궐 선거에 출마 선언을 한 김재홍 전 서울디지털대 총장은 지난 6일 헤럴드경제와 인터뷰에서 “조희연 전 교육감이 낙마했다고 민주진보 교육이 길을 잃으면 안 된다. 10년간 조희연 전 교육감과 민주진보 교육이 함께 해 온 것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총장은 약 25년을 교육인으로 지냈다. 서울대 정치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마친 후 시작한 4년의 강사 생활로 그는 교육계에 몸담았다. 이후 경기대 정치대학원 남북한정치론 담당 교수, 경기대 정치대학원장,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특훈교수 등을 지내다 서울디지털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교육’과 ‘민주주의’에 디딘 두 발김 전 총장의 인생은 한쪽 발을 ‘교육’에 나머지 한 발은 ‘민주주의’에 디딘 삶이었다. 서울대 정치학과 출신인 그는 대학 시절 학생운동에 투신하다, 당시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의 전신)에서 고문 조사를 받고 대학 제적과 함께 군대에 강제 징집되기도 했다. 군 제대 후 대학으로 돌아갈 수 있게 돼 졸업 후 동아일보사에 입사했다.

하지만,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보도하기 위해 계엄사의 검열에 맞서 싸우다 ‘강제 해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1987년 6월 시민항쟁 이후 ‘시민들이 준 선물’이란 마음으로 동아일보사에 돌아가, 경기대 정치대학원 강단에 서기 전까지 언론인 생활을 했다. 이후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소속 비례대표 의원으로 의정 생활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ESG실천국민연대의 상임의장으로, ‘지속가능 미래발전, ESG 실천 교육’ 운동을 펼치고 있다.

김 전 총장은 지난 대선 당시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사회혁신 특보단 상임고문을 맡기도 했다. 전직 국회의원들로 꾸려진 고문유세단의 기획총괄로도 활동했다.

다만, 김 전 총장은 인터뷰 중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도 인연이 있는지’ 묻는 말엔 “개인적인 인연은 없지만 정치적 관계가 있다. 지난 대선 때 언론과 정치학 교수 출신의 전직 국회의원이기 때문에 일정한 역할을 했다”면서도 “교육감 출마자는 교육자치법과 선거법상 정당이나 유력 정치인과의 관계를 밝히지 못하게 엄격히 금지하고 있어서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는 것을 양해해 주기 바란다”고 답했다.

“인성·사회 교육으로 경쟁주의 타파”
헤럴드경제

김재홍 전 서울디지털대 총장이 지난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 그는 이번 교육감 보궐 선거에서 ▷몰인간적 경쟁 타파 인성교육 ▷AI 맞춤형 학교 수업 대전환 ▷가족과 역사 교육 ▷ESG 실천 교육으로 연대와 포용 정신 함양 ▷민주진보의 사회정의와 도덕성 교육 등 5가지를 슬로건으로 꺼내 들었다.

김 전 총장은 “이기적인 경쟁주의가 인간성을 파괴하고, 친구들과 우정이나 상호 신뢰보다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생각이 강해지는 현상은 입시 경쟁 때문”이라며 “대학 졸업 후엔 취직 경쟁을 해야 하고, 이후엔 승진 경쟁 등 평생 경쟁 속에서 살게 된다”고 말했다.

김 전 총장은 “그러한 경쟁의 바탕에 인성이 없으면 매우 파괴적인 비인간적인 몰인간적인 경쟁으로 간다”며 “경쟁도 나름대로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 없애버리자는 건 아니고 부정적인 측면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게 바로 인성 교육과 사회 교육”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총장은 또 “AI 장점은 사람의 힘이 닿지 않는 곳까지 해낼 수 있다는 것”이라며 “교사와 학생 비율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1대 1 교육에서 소외된 학생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 어려운 현실을 AI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도입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총장은 ‘ESG 실천 교육’에 대해선 “ESG의 기본 개념은 지속 가능성”이라며 “기업과 정부, 지자체가 해야 할 인권·노동·공정거래·환경보호 등을 제대로 실천하면 사회 개혁이고, 이를 교육에 도입하는 것이 혁신 교육”이라고 말했다.

김 전 총장은 “그러한 ESG 실천교육을 하면 사회 교육 효과도 있지만, 학생들에겐 연대와 협력, 공유와 상부상조 정신을 함양시킬 수 있다”며 “인성교육과 사회교육과도 직결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딥페이크 범죄야말로 교육의 문제”김 전 총장은 인터뷰 동안 ‘교권’과 ‘학생 인권’의 균형을 강조하면서도, ‘학생인권조례 폐지’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전 총장은 “보완과 발전이 아닌 ‘문제가 있으니 없애버리자’는 건 너무 충동적인 처방”이라며 “학생 인권이나 교권이나 다 필요하고 장점이 있으니 그걸 살려서 발전시켜 나가야지, 어느 한 쪽을 없애버리자는 건 옳지 않다”고 말했다.

‘AI 맞춤형 수업’을 주장한 김 전 총장은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딥페이크 성범죄’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김 전 총장은 “아이들이 딥페이크 비위를 저지르는 것이야말로 교육의 문제”라며 “성인지 교육과 수치심을 가르쳐야 한다. 딥페이크가 심각한 성범죄라는 사실을 주지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총장은 “어느 사회나 일탈행위를 하는 사람은 있지만 학교에서 딥페이크 범죄가 벌어진다는 것은 ‘죄의식 마비’가 집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더욱 심각하다”며 “바깥 사회의 성범죄가 학교 안으로 전염된 상황이어서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교육 당국과 학교와 교사가 철저히 협력하는 ‘딥페이크 감시방지 네트워크’를 제도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pooh@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