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신생아 특례대출 6개월간 7조 원 신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리로 주택 구입자금과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이 출시 6개월 만에 7조 2천억 원 들어온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디딤돌(구입자금)·버팀목(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올리면서도 신생아 특례대출은 전체 정책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저출생 해소' 차원의 정책이라는 이유로 '대출 조이기'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대출 규제를 전방위적으로 강화한 데 따라 신생아 특례대출도 속도 조절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국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신생아 특례대출을 시작한 올해 1월 29일부터 7월 30일까지 6개월간 총 2만 8천541건, 7조 2천252억 원의 대출 신청이 들어왔습니다.

주택 구입자금 대출(디딤돌) 신청은 1만 9천196건, 5조 4천319억 원 규모였습니다.

이 중 더 낮은 금리로 갈아타기 위한 대환용 구입자금 대출이 45%(2조 4천538억 원)를 차지했습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출시 초기 70%에 달했던 대환 비중은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전세자금 대출(버팀목)은 9천345건, 1조 7천933억 원 규모였습니다.

전세자금 대출 중 대환 비중은 41%(7천409억 원)였습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 이후 실제 대출을 받은 대출 실행 규모는 6개월간(올해 1월 29일∼7월 30일) 2만 581건, 4조 8천777억 원이었습니다.

지역별 대출 실행을 분석한 결과,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을 받은 가구의 31%가 경기도에 집을 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의 디딤돌 대출 실행 건이 4천195건(31.1%)이었고, 액수로는 전체 디딤돌 대출 실행액의 34.6%(1조 2천247억 원)를 차지했습니다.

경기도 다음으로는 인천의 디딤돌 대출 신청이 1천41건(7.7%), 서울이 1천33건(7.7%)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경기와 인천 주택 구입이 38.8%를 차지합니다.

디딤돌 대출 집행 액수는 인천 2천847억 원, 서울 3천607억 원입니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2년 이내에 출산·입양한 무주택 가구나 1주택 가구(대환 대출)에 저리로 최대 5억 원까지 주택 구입 자금을 대출해주는 제도입니다.

가격 9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가 대상 주택입니다.

현재 소득 기준은 부부합산 1억 3천만 원, 자산 기준은 4억 6천900만 원입니다.

국토부는 올해 4월 신생아 특례대출의 소득 기준을 부부 합산 2억 원으로 올리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6월에는 2025년부터 2027년 사이 출산한 가구에 대해선 2억 5천만 원으로 상향해 사실상 모든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빠르면 올해 3분기 중 완화된 소득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적용 시점을 연말로 늦춰 잡았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잘 고려해 올해 안에는 발표한 대로 소득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라며 "상세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주택도시기금의 정책대출 공급액 28조 8천억 원 중 신생아 특례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4%(4조 원) 수준이어서 집값을 끌어올릴 정도는 아니라는 게 국토부 판단입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신생아 대출의 경우 저출생이 주택보다 더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정책대출이 가계대출 급증과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자 국토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결혼·출산 등 인구정책과 부동산정책이 충돌하는 양상입니다.

진현환 국토부 1차관은 지난 6일 KTV에 출연해 "(주택) 수요와 공급 두 측면의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가수요 관리, 정책 모기지에 대해서도 추가로 검토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하정연 기자 h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