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9 (목)

박봉 공무원이지만 ‘인서울’은 굿···MZ 직원 비중 크게 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년새 20·30대 직원 비율 14%포인트 올라
전세자금 지원에 일·가정 양립지원 등 주효


매일경제

서울시청 [연합뉴스]


젊은 층의 공직 진출 기피가 심해지는 가운데 서울시에선 20·30대 직원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의 20대 이하 직원은 1176명으로 전체의 10.9%였다.

2014년(316명·3.2%)과 비교하면 비율이 7.7%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30대 직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17.6%에서 24.5%로 상승했다. 20·30대의 비중이 14.6%포인트 늘어난 셈이다.

동기간 국가직의 20·30대 비율이 1.2%포인트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시 관계자는 “최근 공직사회 전반에 ‘젊은 세대 공직 이탈’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있으나, 서울시에서는 통계적으로 뚜렷한 이직률 증가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6∼7년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7급이 50 대 1 이상, 9급은 10 대 1 이상의 높은 채용 경쟁률을 유지 중이다.

2019년부터 다른 지자체와 시험날짜를 통일하면서 중복지원을 차단했는데도 서울시 공무원의 인기는 식지 않은 것이다.

서울시 공무원에서 젊은 세대 비율이 급증한 이유는 서울에 정착한 청년인구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서울에서 태어나거나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 청년이 늘어난 것이다.

아울러 2018∼2022년에 베이비붐 세대의 정년퇴직이 활발히 이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1958∼1962년생 중 정년이 도래한 공무원이 매년 300명 이상 정년퇴직하면서 신규 채용이 확대되고, 일선 사업소에서 현장업무를 하던 고령의 관리운영직이 잇달아 퇴직함에 따라 고졸자를 경력경쟁채용으로 대거 채용했다.

시는 저년차 공무원의 이탈을 방지하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현대의 기준에 맞는 여러 인력관리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선 시는 신규 공무원이 기피 민원 업무나 책임이 따르는 법정사무를 떠맡지 않도록 업무분장 기준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또 국내 대학과 대학원 위탁교육(최근 3년간 연평균 233명), 자기개발휴직(최근 3년간 연평균 27명)을 통해 학업·연구·자격증 취득에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부여한다.

올해 8월부터는 육아공무원 주1회 재택근무를 의무했다.

무주택 공무원 전세자금 지원(최고 1억원)에서 신규자(20%)와 신혼부부(30%)를 우선 지정하는 등 저년차 직원의 주거 안정에도 노력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