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으로 위궤양이 있으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으로 위궤양이 있으면 치매 발병 위험이 약 3배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다만 제균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면 치료가 지연됐을 때보다 치매 위험을 절반 가까이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동우 교수,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임현국 교수 연구팀은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여부에 따른 치매 발병 위험도를 연령대별로 평가한 연구를 미국노화학회 공식 학술지인 ‘제로사이언스(Geroscience)’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55~79세 연령대의 4만7628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5년, 10년 추적관찰을 수행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와 십이지장 점막에 서식하면서 소화성궤양을 유발한다. 이같은 궤양이 생기면 신경세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고, 장내 미생물 군집에 변화를 일으켜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 균은 혈관뇌장벽을 통과해 뇌까지 침투한 뒤 뇌내 신경염증을 유발하며,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아밀로이드베타·타우 단백질이 뇌에 쌓이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강동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헬리코박터 감염과 신경퇴행성 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했다”며 “발효음식이나 매운 맛을 즐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식습관이 위점막을 자극해 헬리코박터 감염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장 건강뿐 아니라 뇌 건강을 위해서도 조기 진단과 빠른 제균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해병대원 순직 사건, 누가 뒤집었나? 결정적 순간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