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0 (금)

미국 기준금리 0.5%p '빅컷' 인하…"주택시장 영향 제한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문가들 "美 금리인하 영향 제한적…대출 규제 변수"

"내년 부동산 시장, 복합적 작용…신중한 접근 필요"

뉴스1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밀집지역. 2024.9.9/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지명 윤주현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0.5%포인트 금리를 인하하며 세계 경제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하가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인하가 주는 기대보다는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가 시장을 더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리 인하 효과, 대출 규제로 상쇄될 가능성 커

미국 연준은 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해 4.75~5.0%로 조정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단행된 대규모 금리 인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기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의 즉각적인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미국 금리 인하로 자금 조달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지만, 현재 국내 가계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곧바로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출 규제가 금리 인하의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가 시장에 선반영된 상태에서 가계 대출 총량을 관리하는 정책 규제가 수요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도 "금리 인하는 자금 조달의 숨통을 틀 수 있지만, 서울과 같은 핵심 지역에서는 대출 규제가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 위원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이미 상당 부분 시장에 반영되어 있어, 대출 규제가 이를 상쇄하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 증가로 이어지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서울 외곽 지역의 경우도 대출 규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함 랩장은 "대출 규제로 인해 노원·도봉·강북(노도강) 지역과 같은 외곽의 중저가 주택 시장에서 거래가 이미 둔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둔화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뉴스1

11일 서울 송파구 부동산중개업소 앞에서 한 시민이 매물 정보를 바라보고있다. 2024.8.11/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년 부동산 시장, 대출 규제와 금리 인하 복합적 영향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내년 부동산 시장에 대해 "금리 인하로 인해 실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을 위한 적기로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수도권 외곽 지역이나 중저가 주택 시장에서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대출 규제가 유지되는 한,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도 금리 인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강남 3구와 같은 초고가 주택 시장은 대출 규제와 상관없이 공급 부족으로 인해 거래가 줄더라도 가격은 쉽게 하락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은 대출 규제가 지속되고 있어 금리 인하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가 부동산 시장에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출 규제가 유지되는 한 금리 인하가 단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지만, 실수요자들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원갑 위원은 "서울과 같은 고가 지역에서는 가격 이점이 있는 매물을 선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출 규제가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j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