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0 (금)

지역부터 닥친다…비수도권 국립대병원 응급실 가동률 곤두박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응급실앞 병원을 찾은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정용일 선임기자 yongil@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추석 연휴에 우려됐던 ‘응급실 대란’은 피했지만, 의사 인력난을 겪는 비수도권 병원들을 중심으로 응급실 진료 공백이 커질 우려는 여전하다. 특히 지역의 응급실이 전공의(인턴·레지던트) 공백 장기화로 응급의학과 전문의마저 격무에 소진되고, 신규 채용은 이뤄지지 않는 악순환으로 ‘응급’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추석 연휴 기간 전국 411곳의 응급실 가운데 24시간 운영이 어려웠던 곳은 세종충남대병원과 건국대충주병원, 경기 용인 명주병원 등 3곳이었다. 하지만 연휴 이후 강원대병원과 이대목동병원도 응급실 운영을 일부 제한한다. 강원대병원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5명 중 2명이 최근 휴직·병가에 들어가면서 응급실 전문의가 3명만 남았다. 재정난으로 운영이 어려운 용인 명주병원을 제외하면 응급실 운영을 제한한 4곳 가운데 3곳은 비수도권에 있다.



지역의료체계 거점인 국립대병원 응급실 가동률(병상 포화지수) 역시 지역부터 흔들리는 의료체계 현실을 보여준다. 이날 전국 16개 국립대병원(본·분원)이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1~8월 응급실 가동률은 평균 46.7%로, 지난해(70.6%)보다 23.9%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비수도권 소재 국립대병원의 응급실 가동률 감소 폭이 컸다. 전남대병원의 1~8월 응급실 가동률은 지난해(99.3%)보다 45.1%포인트나 줄어 54.2%가 됐다.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충북대병원은 응급실 가동률이 18.8%로 16개 국립대병원 가운데 가장 낮았다. 반면, 수도권 소재 국립대병원인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의 응급실 가동률은 각각 104.7%, 102.8%였다.



이들 비수도권 병원 가운데 인력 부족으로 간신히 24시간 응급실 진료를 유지하고 있는 곳도 상당하다. 충북대병원 응급실은 지난 2월 7명의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있었지만, 5월과 8월에 1명씩 사직과 휴직으로 응급실을 떠났다. 5명의 전문의가 교대로 주간 근무 9시간, 야간 근무 15시간을 맡고 있다. 인제대부산백병원 응급실도 9월 1명이 퇴직해 6명만 남은 상태다.



김상철 충북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은 “진료 인력이 부족해 한명이 24시간 연속 근무를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도병수 대구·경북 광역응급의료상황실장은 “지역 응급실은 응급전문의뿐만 아니라 배후 진료 인력 부족으로 늘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의료 공백으로 이 같은 현실이 더욱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비수도권 병원들은 전문의 몸값을 감당하지 못해 신규 채용도 못 하고 있다. 3차 의료기관인 비수도권 대학병원이 수도권 2차 병원 응급실에 견줘 연봉이 낮고, 환자 중증도는 높아 전문의가 수도권으로 쏠리기 때문이다. 비수도권 한 응급의학과 교수는 “수도권 응급실 촉탁의 급여가 3억5천만∼4억원인 반면 비수도권 국립대병원은 2억5천만원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라고 전했다.



정부가 군의관 250명을 전국 병원에 파견했지만, 응급실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안 되는 상황이다. 군의관들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아닌데다 ‘블랙리스트’에 오를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는 한 국립대병원의 응급전문의는 “군의관들이 이곳에 배치를 받아도 블랙리스트 등을 이유로 바로 취소 신청을 해서 응급실 운영에 사실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