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4 (화)

[단독] 청년농 육성에 3000억 썼는데···2040 농부 12만명 줄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쌀생산자협회, 가톨릭농민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등 농업 관련 단체 회원들이 지난 10일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정부의 수확기 쌀 대책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 7년간 청년농 육성에 3000억원 가량의 재정을 투입했으나 정작 20~40대 청년농의 숫자는 12만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청년 맞춤형 정책 설계에 나서는 등 정책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농식품부가 청년영농정착지원 사업에 지난 7년간 배정한 예산은 약 2889억원이었다. 청년영농정착지원 사업은 40세 미만·독립 경영 3년 이하 청년농업인을 대상으로 정착지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1~3년차 청년 농업인에게 매달 지원금 90만~110만원을 차등 지급한다.

사업 예산은 매년 증가했다. 2018년 128억4900만원이던 예산은 2020년 314억4900만원, 지난해 551억600만원으로 늘었다. 올해 예산은 957억2400만원이고, 내년에는 1136억6200만원이 편성될 예정이다. 예정대로 예산안이 통과되면 8년 사이에 예산이 10배 가까이 늘어나는 셈이다. 지원 대상도 2018년 1600명에서 올해 5000명으로 늘었다. 내년 지원 대상은 1만4000명이다.

그러나 20대 이상 40대 이하 청년농 인구는 2018년 기준 38만6108명에서 지난해 26만3126명으로 12만2982명(31.9%) 줄었다. 전체 연령대 농업인구 감소율(9.8%)보다 훨씬 높다. 20대(-30.8%), 30대(-34.7%), 40대(-30.8%)에서 모두 고르게 농업인구가 감소했다.

연도별로 보면 청년농 인구는 2020년 41만1678명에서 2021년 32만8451명으로 급감했다. 2022년(29만8538명)과 2023년(26만3126명)에도 각각 전년 대비 3만명, 3만5천명 가량 줄며 감소 폭이 커졌다. 지원 대상과 예산이 늘고 있지만 청년농 감소세는 오히려 가팔라진 것이다.

경향신문

농림축산식품부의 청년영농정착지원 사업 예산 추이. 임호선 의원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0대 이하 귀농·귀촌 인구도 2019년 22만4099명에서 2021년 23만5904명으로 증가하다 2022년(19만4684명)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18만8722명으로 2019년 대비 15.9% 줄었다. 전체 연령대 귀농·귀촌 인구 감소율(10.1%)보다 높다.

고환율·고물가로 생산비 부담은 커진 반면 농업소득은 정체되면서 청년층의 농촌 유입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 의원은 “청년들이 농촌을 떠나는 이유는 결국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전기세·유류비 지원 및 농업부채 감축 방안 마련 등을 통해 안정적인 농가소득을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해병대원 순직 사건, 누가 뒤집었나? 결정적 순간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