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6년까지 신규시스템 70%이상 클라우드 네이티브 적용
빠른 서비스 고도화·서비스 중단 시간 단축 등 안정성 강화 기대
이용 요금 체계·예산집행 개선·가이드라인 마련 등 제도적 지원↑
행정안전부(행안부)는 2026년까지 신규 시스템의 70% 이상에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적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공공 서비스의 신속한 개선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고경두 행전안전부 디지털기반안전과 사무관이 2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FKI타워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한민국 클라우드·SaaS 포럼 2024(KCSF2024)'에서 '정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추진 목적 및 전략'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경두 행정안전부 디지털기반안전과 사무관은 26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아이뉴스24가 개최한 '대한민국 클라우드/SaaS 포럼 2024(KCSF 2024)'에서 이 같은 전략을 발표했다.
◇ 정부는 '왜'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도입하는가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정보시스템 설계 단계부터 클라우드 기술(MSA, 컨테이너, CI/CD, DevOps 등)을 적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도입하면 확장성, 민첩성, 자원 효율성, 적시성, 유연성, 회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고 사무관에 따르면 그간 공공 정보화 사업에는 적기 서비스 불가, 차세대 사업 실패, 중단없는 서비스 어려움, 사용자 집중에 의한 접속 지연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감염자가 폭증하자 정부의 예방접종 시스템에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던 경우가 있다.
이에 정부는 공공 정보 시스템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도입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공공 정보시스템도 필요할 때 즉시 서비스 고도화 △변경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 시간 획기적 감축 △사용자 집중에도 안정적 서비스 제공 △서비스 개통 후 안정성 강화 등 크게 4가지 목적 달성을 목표로 한다.
다만 고 사무관은 클라우드 기술 도입 자체가 목적이 되는 '주객전도' 현상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단순히 클라우드 전환 몇 % 했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도입의 목적 달성을 이뤄야 비로소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정부는 '어떻게'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추진하나
정부는 2024년 신규 시스템의 13%를 시작으로 2026년 이후 70% 이상의 시스템에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적용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추진,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활성화, 기반 강화라는 세 가지 축으로 전략을 수립했다. 특히 행안부는 740억원 규모의 예산으로 시범 사업과 중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관별 자체 추진도 독려하고 있다.
SaaS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수요를 조사하고 공개해 민간 기업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 공공기관과 SaaS 업체 간의 매칭 행사를 개최하고, 행정망 내 공통 시스템과 SaaS를 연계하는 기반 시스템을 구축해 SaaS 도입의 장벽을 낮추고 있다.
제도적 지원과 교육 활동도 적극 추진한다. 예산 체계의 개선, 이용료 산출 가이드 제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적합성 분류 기준 마련 등을 통해 각 기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매년 각 기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이행 실적을 점검하고, 이를 정부 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통해 수정된 로드맵을 의결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를 진행한다.
고 사무관은 "연말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종합 가이드를 배포할 예정이다. 또 온오프라인 교육을 통해 공무원들의 이해도를 높이겠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국민들에게 더 나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