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단독]韓 핵심기술 인재 최소 13명, 中 ‘첸런계획’에 포섭당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 상위 2% 과학자’ 오른 인재도

정부, 대응은커녕 실태파악도 못해

동아일보

중국 명문 칭화대 정문. 한국에서 ‘첸런(천인)계획’에 참여해 중국으로 건너간 교수가 근무 중이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해외 인재 유치 프로그램인 ‘첸런(千人·천인) 계획’에 한국 교수·연구원 등 학자 최소 13명이 참여해 중국으로 건너갔던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일본, 호주 등 각국은 자국 인재를 중국이 빼내 가는 상황을 막기 위해 국가 기술 안보 차원에서 대응 중이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정부 차원의 실태 파악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간 한국도 상당수 인재들이 첸런계획에 참가했을 것이란 추측은 있었지만 구체적인 수치와 경력, 인적 사항 등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아일보 취재팀은 올해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과거 중국 정부가 운영한 첸런계획 관련 온라인 홈페이지, 중국 학자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첸런계획에 참여한 한국인 교수와 연구원 등 13명의 명단을 찾아내 그중 6명을 인터뷰했다. 첸런계획 홈페이지는 현재 사라졌지만 온라인에서 삭제된 자료를 보관해 놓는 데이터베이스를 취재팀이 발견해 분석했다. 취재를 종합해 보면, 첸런계획에 참여한 한국 학자들은 주로 2011∼2018년 선발돼 중국으로 건너갔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한국에서 서울대, 포스텍, KAIST 등 이공계 명문대 교수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중국 칭화대, 푸단대, 시안전자과기대 등으로 소속을 옮겼다. 이들 중에는 한국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이도, 글로벌 학술기업 엘스비어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선정한 세계 상위 2% 과학자 명단에 포함된 학자도 있었다. 연구 분야는 양자컴퓨팅, 인공지능(AI) 딥러닝, 반도체 등 국가 핵심·전략 기술에 해당하는 것들이었다. 첸런계획에 참여한 김호정(가명·56) 교수는 1995년부터 21년간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2016년경 중국 장쑤성의 디스플레이 기업으로 이직했다. 그는 2018년경 첸런계획 ‘외국인 전문가’로 선발돼 연구비를 지원받기 시작했다. 이후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 3곳 이상에서 책임자급으로 일했다.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원으로서 첸런계획을 연구했던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은 “인재 유출을 못 막으면 한국은 중국의 ‘과학기술 속국’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中, 백지수표 내밀듯 급여 계속 높여 유혹”… 배우자 취업도 지원

[中에 포섭당한 한국 인재들]
〈상〉 中 ‘첸런계획’ 인재 포섭
10억 연구비에 고급 아파트 제시… 총장 직인 계약서 보내 “사인만 해라”
中으로 첨단기술 쉽게 유출 우려… 일부 “양심 가책” 중도 포기하기도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오전 중국 베이징시 하이뎬구 중관춘 소프트웨어파크(中關村軟件園).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이곳에 공학 연구소가 하나 있었다. 입구는 보안이 삼엄했다. 기자가 접근하자 곧바로 경비원들이 다가왔다. 이곳에는 중국 ‘첸런(千人)계획’에 참여한 한국인 학자 신영민(가명) 교수가 소속돼 있다. 신 교수는 고압물리 분야 전문가로, 2017년 중국 첸런계획에 선발됐다. 이날 “한국인 박사를 찾아왔다”는 기자의 말에 달려나온 직원들은 처음에 “한국인은 근무하지 않는다”고 했다가, 조금 뒤 “신 교수는 상하이 사무실에 근무 중이고 종종 여기에 온다”고 말을 바꿨다. 첸런계획은 공산당 산하 중앙조직부가 수립한 인재 확보 계획이다.

● 10억 원 넘는 지원금에 고급 아파트로 ‘유혹’

취재팀이 만난 첸런계획 참여 한국인 교수·연구원들은 대부분 “연구비 생활비 등을 부족함 없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입을 모았다. 2016년 장쑤성 첸런계획에 참여한 윤민철(가명) 교수는 신소재 분야에서 인정받는 전문가였지만 한국에선 당시 연구 과제를 따내지 못했고 연구실 운영도 어려웠다. 윤 교수는 연구실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중국 대학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했는데, 그의 밑에서 학위를 받은 유학생들이 윤 교수에게 첸런계획 참여를 제안해 왔다. 그는 “중국에서 항공권, 생활비, 연구비를 부족함 없이 지원받았다”고 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각종 인재 유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자들은 “중국이 마치 백지수표처럼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난징시의 한 대학에서 임용 제의를 받는 한영호(가명) 교수는 중국 측의 8개월에 걸친 설득에 못 이겨 중국행을 택했다. 한 교수는 “대학에서 이메일 수십 통을 보내면서 급여 제안액을 계속 높였다”며 “마지막엔 총장 직인까지 찍힌 계약서를 보내와 ‘사인만 하면 끝난다’고 설득했다”고 전했다.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의 ‘해외 고급인재 유치 규정’ 등에 따르면 첸런계획에 참여한 외국인 학자들은 인당 100만 위안(약 1억9000만 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최대 500만 위안(약 9억5000만 원)의 연구비도 제공된다. 첸런계획 하부 프로그램인 ‘청년 첸런계획’에 선정되면 3년간 매년 생활 보조금 50만 위안(약 9400만 원), 과학연구 보조금 100만∼300만 위안(1억8800만∼5억6400만 원) 씩을 지원받는다. 50평대 고급 아파트, 배우자 취업 등도 지원된다. 생명공학 분야 전문가인 정상진(가명·75) 교수는 백두산 생물자원 연구 등을 위해 중국 연변대와 교류했다. 그는 2010년경 첸런계획 참여 제안을 받았고, 논문과 수상 실적을 보낸 뒤 선발됐다. 정 교수는 “연변대 총장보다 높은 급여, 대형 실험실, 필요한 연구 장비를 모두 지원받았다”고 했다.

동아일보

베이징고등고압연구소(HPSTAR) 모습. 한국에서 ‘첸런(천인)계획’에 참여해 중국으로 건너간 교수가 근무 중이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분야 전문가 강종혁(가명·56) 교수는 2014년 캐나다에서 공동 연구를 했던 중국인 교수에게 첸런계획을 들었다. 강 교수는 “제대로 된 설명 없이 당신 이름을 빌려서 연구 프로그램에 지원해도 되겠느냐 정도의 제안이었다”고 했다. 강 교수가 허락하자 이력서 작성 등 모든 절차를 중국인 교수 측에서 알아서 진행했다.

● “양심 가책” 도중 중단도… “기술 유출 우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인재 유출이 결국 기술 유출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 대학, 기업, 연구소에서 첨단 기술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중국에 취업하면 결국에는 중국의 기술 연구개발, 상품 개발에 자신의 노하우를 투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내 대학 교수들이 중국으로 건너간 경우에는 기초과학 분야에서 중국의 연구 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다. 국내 연구원이 중국 기업으로 이직한 경우에는 당장 경쟁 제품 개발에서 한국이 피해를 볼 수도 있다. 실제 2017년 7월에는 KAIST 교수가 첸런계획 계약에 따라 자율주행차량 관련 연구 자료를 중국에 넘긴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다.

양심의 가책 때문에 첸런계획 참여를 중도 포기한 한국 학자들도 있었다. 국내 약학 분야 권위자인 박철우(가명·66) 교수는 2013년 첸런계획에 선발됐으나 중국 측에서 “연구 관련 특허를 중국에 넘겨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고민 끝에 6개월 만에 참여 활동을 중단했다. 그러자 중국 측은 모든 지원을 끊었다.

주현우 기자 woojoo@donga.com
이수연 기자 lotus@donga.com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