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지난달 산업생산 4개월만 반등, 車·반도체 증가 영향…소비 1.7%↑(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공업 생산 4.1% 증가…자동차 22.7%·반도체 6.0%↑

소매판매, 지난해 2월이후 18개월만 최대 상승률

동행지수순환변동치 6달 연속 내림세…19개월만에 최장기간 마이너스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지난달 산업생산이 자동차와 반도체 생산 증가에 힘입어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자동차 생산은 2020년 6월이후 50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를 보였다. 소매 판매도 지난해 2월이후 18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현재 경기 흐름을 가늠하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6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면 19개월 만에 최장기간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대해 정부는 중동지역 분쟁 확산 우려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주요국 선거 및 불확실성이 상존하다고 판단, 주요 정책과제를 신속하게 추진키로 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7(2020년=100)로 전월보다 1.2%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4월 1.4% 증가했다가 5월(-0.8%)과 6월(-0.1%), 7월(-0.6%) 연이어 감소한 후 4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이 4.1% 늘면서 전체 산업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2023년 8월 5.4% 증가한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28개 업종 중 17개가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통신·방송장비(-7.1%)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22.7%), 반도체(6.0%)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자동차 생산은 2020년 6월(23.9%) 이후 50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2% 늘면서 3개월 연속 증가 흐름이 이어졌다. 특히 내수와 밀접한 항목인 숙박·음식점(4.4%)과 도소매업(3.0%)에서 뚜렷한 증가세가 나타났다. 평년 대비 적었던 강수량과 외국인 관광객 유입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 출하는 전자부품, 의료정밀광학 등에서 줄었으나 자동차, 석유정제 등에서 늘어 전월대비 5.7%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통신·방송장비, 전자부품 등에서 늘면서 전월보다 1.4% 늘었다.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 판매는 1.7% 증가했다. 지난해 2월(4.0%) 이후 18개월 만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소매 판매는 4월(-0.6%), 5월(-0.2%) 감소에서 6월(0.9%) 증가로 돌아섰다가 7월(-2.0%) 다시 감소하는 등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여왔다.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9%)의 판매가 줄었지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7%), 승용차 등 내구재(1.2%)는 판매가 증가했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소매판매가 1.3% 감소하면서 6개월 연속 감소 흐름이 이어졌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보다 5.4% 줄었다. 전월 항공기 도입으로 운송장비 투자가 급증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건설기성도 1.2% 감소했다. 토목(2.4%)에서 공사 실적이 늘었지만, 건축(-2.4%)에서 공사 실적이 줄었다. 향후 건설 경기를 예고하는 건설 수주(경상)는 전년동월대비 7.2%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2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3월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세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6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18년 7월∼12월 처음이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또한 100.6으로 0.1포인트 내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산업활동은 광공업의 큰 폭 반등과 서비스업 3개월 연속 상승으로 전산업이 개선됐다”면서 “9월 수출도 12개월 연속 플러스가 기대되는 등 수출·제조업 중심으로 경기회복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다만 잠재되어 있는 리스크 요인에 대해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생산측면에서는 중동지역 분쟁 확산 우려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주요국 선거 및 경기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출측면은 소상공인 애로, 가계부채·부동산PF 리스크등이 하방 요인으로 임시투자세액공제, 신축매입임대 11만호 공급, 공공기관 투자 보강, 25조원 규모 소상공인 지원 등 주요 정책과제를 신속 추진하고 투자·건설·소비 등 부문별 맞춤형 정책 처방 통해 내수 회복을 가속화하겠다”고 강조했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