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 세계최초 왕관의 무게…품질논란은 해외도 마찬가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뷰] 줄리안 고먼 GSMA 아태지역 대표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한국의 경우 LTE 때부터 이미 기술의 장점을 풍부하게 누렸기 때문에 다른 시장과 비교해 (5G에 대한) 기대 수준이 더 높았다고 보여집니다."

줄리안 고먼(Julian Gorman) GSMA 아태지역 대표<사진>는 지난 1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에서 개막한 ‘M360 APAC’ 기조연설 이후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 내 5G 품질 논란에 대해 어떻게 보냐’는 질문에 대해 ”네트워크 선구자로서 한국이 누리는 이점도 있지만, 풀어야 할 난제도 많았을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5G 최초 상용화’라는 왕관의 무게 있었을 것"

2019년 대한민국은 전 세계 최초로 5G(5세대이동통신)의 이정표를 세운 바 있다. 2000년 세계 최초 3G CDMA 기반 IMT-2000 서비스를 실시한 이후 19년 만에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의 면모를 보여준 성과였다.

축배를 올린 것도 잠시, 5G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은 커져갔다. 5G가 잘 안 터졌기 때문이다. 5G 평균속도는 LTE 대비 3~4배에 그쳤으며 곳곳에선 그나마도 안 터졌다. 결국 5G폰을 LTE로 쓰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지속됐다.

한국이 처한 상황과 관련해, 그는 해외에서도 기대와 현실 간의 괴리에서 오는 차이가 있을 뿐 크게 다르진 않다고 밝혔다.

고먼 대표는 “불만이라는 것도 기대에서 오는 것이다. 영화 다운로드 속도가 10초냐, 1분이냐 말하지만, 결국 영화의 러닝타임이 2시간인 것을 감안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며 “결국 5G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냐는 문제하고도 연관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5G 시장, 느리지만 성장 중…“밀리미터웨이브, 그랑프리 차량과 같아”

3G·LTE와 다르게 5G 시장이 가진 특수성에도 그는 주목했다. 통화품질은 물론, 인터넷의 속도도 충분히 향상된 상황에서 소비자가 체감할 만한 효과를 내기까진 업계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봤다.

그럼에도 불구, 최근 5G 28㎓로 대표되는 밀리미터웨이브(mmWave) 대역 주파수 기반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며 5G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실제 해외 통신사업자들은 최근에서야 밀리미터 대역 주파수에 관심을 보이고있는 상황이다. GSA(Global Mobile Suppliers Association)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26개국이 밀리미터파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엔 유럽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까지 유럽의 14개국이 밀리미터파 라이선스를 취득했으며, 헝가리·오스트리아·영국 등 더 많은 국가가 라이선스를 취득할 계획이다.

고먼 대표는 “밀리미터웨이브를 둘러싼 생태계가 성숙해가고 있다. 비용을 줄이고 시장의 규모가 커지는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라며 ”그럼에도 긍정적인 건 최근 인도의 한 공장에서 5G를 적용해 유즈케이스를 발굴하는 등 프라이빗 네트워크 활용 사례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생태계가 성숙하면서 혁신 비용(Innovation cost)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밀리미터웨이브 대역 주파수를 그랑프리 차량에 빗대면서 “그랑프리에 출전한 차량에 적용된 신기술이 우리가 타는 일반 승용차에 적용되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6G부턴 통신망 다른 양상…“주파수 정책도 변화해야”

6G로 넘어가면서 통신망의 발전이 지금과 다른 양상을 띌 것이라고도 그는 말했다. 더 이상 3G·4G·5G 등 세대별로 단계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용도에 맞춰서 공존하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고먼 대표는 “6G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는 단계로, 상용화 시점을 논의하긴 아직 이르다”라면서도 “6G부턴 리테일에 적용되기보다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연결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이동통신의 변화에 맞춰, 정부 역시 주파수 정책과 관련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한다고도 말했다.

최근 홍콩의 경우, 26㎓ 및 28㎓ 대역 주파수에 한정해 새로운 주파수 할당 제도를 도입했다. 이른바 ‘SUF(Spectrum Utilization Fee) 요금 청구 제도’는 대역 활용률이 일정수준을 넘어가는 순간부터 주파수 할당대가를 부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제도를 도입한 배경엔 밀리미터웨이브 대역 주파수가 가지는 특수성이 있다. 26㎓ 및 28㎓와 같은 밀리미터웨이브 대역 주파수의 경우 전파의 회절성이 약해 장애물에 약하고 커버리지가 짧아 투자는 많이 요구되지만, 마땅한 B2C 수익모델은 없어 수익성이 낮은 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기존 통신사업자들은 밀리미터웨이브 대역을 B2C에서 제대로 활용하려면 서비스가 먼저 받쳐줘야 한다며 해당 대역에 대한 투자가 소극적이었다.

이 가운데 홍콩은 26㎓ 및 28㎓ 대역에 한정해, 시장이 활성화되면 사업자에 자연스럽게 할당대가가 부과되는 제도를 채택한 것이다. 26㎓ 및 28㎓ 기반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가입자가 늘고, 이들에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사업자 역시 더 넓은 대역폭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먼 대표는 “최근 태국 등이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다가 주파수 경매에 실패하는 등 주파수 할당과 관련해 많은 국가들이 기존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라며 “기존에는 제약을 주고 (주파수를) 판매했다면, 이젠 규제보단 투자나 서비스 제공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디지털 국가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입안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라며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공정 경쟁하고 투자를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이동통신사가 주목하고 있는 최근의 기술 동향으로 ▲5G로의 트래픽 이전과 이전세대 서비스의 종료 ▲AI를 통한 네트워크 효율성 달성 ▲오픈게이트웨이를 통한 수익화 등을 꼽았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