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메타 "AGI 구축해 오픈소스로 공개...'라마' 다운로드 4억회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일 한국 오피스서 '메타 AI 미디어 브리핑' 개최
메타 부사장 "라마 파생 AI 모델 6만5000개 돌파"

머니투데이

10일 메타 한국 오피스에서 열린 '메타 AI 미디어 브리핑' 행사에서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메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GI(범용인공지능) 구축 후 오픈소스로 공개해 모든 사람이 AI(인공지능) 혜택을 누리게 하는 것이 메타의 장기적인 목표다."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은 10일 서울 강남구 메타 한국 오피스에서 열린 '메타 AI 미디어 브리핑' 행사에서 "AI 기술은 단순히 기업의 성장을 넘어, 사회와 경제에 큰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행사는 그간 메타의 AI 기술 및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픈소스 LLM(대규모 언어모델)인 '라마'(Llama)를 중심으로 한 AI 기술 및 오픈소스 접근 방식, 메타 AI 연구소 '페어'(FAIR·Fundamental AI Research)의 연구 내용이 발표됐다. 팔루리 부사장을 비롯해 장광선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메타가 오픈소스 접근 방식을 추구하는 이유에 대해 팔루리 부사장은 "개방형 생태계가 기술 혁신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안전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오픈소스 모델은 개발자가 본인만의 모델을 훈련하고,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오랫동안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라마의 성과도 공유했다. 팔루리 부사장은 "메타는 최근 발표한 '라마3.2' 모델을 포함해 총 4번의 성공적인 배포를 마쳤다"며 "현재까지 4억회 이상 다운로드됐으며, 이는 전년 대비 10배 증가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라마 모델은 교육, 헬스케어 분야 등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수많은 비즈니스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라마로 파생된 AI 모델은 6만5000개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10일 메타 한국 오피스에서 열린 ‘메타 AI 미디어 브리핑’ 행사에서 장광선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메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 연구원은 KISTI의 과학기술정보 특화 LLM '고니'(KONI) 구축 사례를 소개했다. 고니는 라마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데이터를 추가 학습했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기관 및 공공기관에 특화된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장 연구원은 "라마의 오픈소스 특성과 비교적 적은 자원으로 보안성이 높은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선택했다"며 "고니는 '사이언스온'과 '액세스온' 등 KISTI의 주요 서비스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방대한 과학기술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요약하고 활용할 수 있고, 최신 연구 동향을 쉽게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페어 연구소에 대한 소개와 연구 진행 결과도 공유됐다. 니킬라 라비 메타 페어 연구팀 리서치 엔지니어링 매니저는 "지난 10년간 페어 연구팀이 개방적이고 책임감 있는 연구의 길잡이 역할을 자처하며, 연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자 노력해왔다"며 "실제 페어 연구팀은 현재까지 1000개 이상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모델 및 데이터 세트 등을 공개적으로 배포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팔루리 부사장은 "메타는 오픈 소스 분야에서 오랜 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 계속해서 개방형 생태계를 넓혀가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업한다"며 "앞으로도 메타는 책임감 있는 AI 연구와 오픈소스 접근 방식을 통해 전 세계 모두가 최첨단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역설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