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2 (일)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노벨상 휩쓴 AI[여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2016년 대결은 인류에게 큰 충격을 던졌다. 가로·세로 19줄에서 나오는 경우의 수가 10의 170제곱에 달해 아무리 첨단 컴퓨터라도 매수 최적의 수를 찾는 건 시기상조라고 봤었다. 하지만 이세돌 9단의 3연패 뒤 4국에서 거둔 1승은 인류가 AI에게 거둔 첫 승이자 유일한 승리가 됐다. 국내외 언론은 “인류의 존엄을 되찾았다”고 흥분했고, 승착이 된 78번째 수는 ‘신의 한 수’로 불렸다.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와 ‘알파고 아버지’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가 이름을 올렸다. 허사비스 CEO는 공동수상자인 존 점퍼 딥마인드 디렉터와 함께 ‘알파폴드2’라는 AI를 통해 2억개 이상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방법을 찾았다. 베이커 교수도 AI로 단백질 구조를 설계했다. 이들 공로로 50년 묵은 과학적 난제를 풀고 신약 개발의 새 지평을 연 것이다. 전날 발표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도 머신러닝 기술을 개발한 ‘AI 대부’들이다. AI가 인류 최고의 두뇌 게임 바둑을 넘어 노벨상을 휩쓸고 있는 셈이다.

인터넷·휴대전화에 이어 AI는 이미 인류의 일상을 바꾸고 있다. 전화 응대 등 반복적 업무는 AI로 대체하는 일이 흔해졌고, 의료계에선 암·뇌질환 등을 판별·진단하는 AI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자율주행, 안면 인식 등 AI를 접목한 기업들이 주식시장에 상장돼 각광받기도 한다. 반면 그제 삼성전자의 ‘3분기 어닝 쇼크’는 AI용 반도체 기술에서 뒤처져 생긴 일이다. 챗GPT에 어떤 질문을 하는가가 능력 차이를 만든다는 전망도 나온다.

‘빛의 속도’로 발전하는 AI가 만들 미래는 기대와 우려가 섞여 있다. 홉필드 교수는 수상 기념 기자회견에서 “AI가 세상 모든 정보와 결합되면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의 통제사회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했고, 힌턴 교수도 “AI 잠재 위험이 기후위기와 맞먹는다”고 우려했다. AI로 노벨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AI를 경고하는 이 아이러니 상황부터 유토피아·디스토피아의 미래가 혼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향신문

이세돌 9단(오른쪽)이 2016년 3월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P)에게 대국에서 사용된 바둑판을 전달하고 있다. 허사비스 CEO는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됐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재현 논설위원 parkjh@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창간 기념 전시 ‘쓰레기 오비추어리’에 초대합니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