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4 (월)

한동훈, '한남동 라인' 김 여사 압박…독대 앞두고 '긴장' 최고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 여사, 공적 지위 아냐…그런 분 라인 존재하면 안 돼"

김 여사·대통령 인사권 겨냥…재보선 후 독대 성과 '글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필리핀, 싱가포르, 라오스 아세안 +3 회의를 마치고 귀국하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4.10.11/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소은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를 앞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연일 김건희 여사를 겨냥한 발언을 내놓으며 당정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 대표는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게 해야 한다'고 지적한 데 이어, 김 여사를 '공적 지위에 있는 분이 아니다'라고 칭하며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양새다.

'대통령실의 역린'인 김 여사 문제에 거침 없는 발언을 이어가는 한 대표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인사 문제까지 거론한 만큼, 10·16 재보궐선거 이후로 예정된 독대에서 실질적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된다.

한 대표는 14일 오전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인적쇄신이 필요하다는 게 김 여사 라인에 대한 정리를 말하는 것이냐'라는 질문에 "(김 여사는) 공적 지위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그런 분의 라인이 존재하면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 분의 라인이 존재한다고 국민이 오해하고 언론이 기정사실로 생각하는 것 자체가 국정 신뢰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12일에도 친한계 한 핵심 인사는 한남동 라인에 대해 "대통령실 내에서 자신의 직책 범위를 넘어선 정치적 일탈 행위를 일삼는 인물들"이라며 "반드시 풀어야 할 문제"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한 대표와 친한계가 거론하는 인적 쇄신은 대통령실 내 김 여사 측근 인사들을 타깃으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여사가 한남동 관저에 머물기 때문에 소위 '한남동 라인'으로 불리는 인사들이다.

'한남동 라인'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은 지난 4월 '박영선 국무총리·양정철 비서실장' 기용설이 불거지면서다. 김 여사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일부 비서관이 해당 내용을 흘렸고, "검토된 적 없다"는 대통령실의 공식 부인 이후에도 이들은 이같은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공식 대통령실 라인과 김 여사 라인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김 여사 라인이 국정에 관여하고 있다는 풍문이 돌기도 했다.

주어를 밝히진 않았지만 한 대표가 인적 쇄신 필요성을 강조한 게 해당 '김 여사 라인의 정리'로 풀이되며 당정 갈등 봉합이 근시일내 이뤄지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남동 라인 정리를 요구한 것이 윤 대통령의 인사권을 건드린 데다 한 대표가 김 여사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고 있어, 대통령실이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독대 성과에 대해 묻는 뉴스1에 "10·16 재보궐선거 전까지 당정에 대한 언급은 자제하려 한다"고 조심스런 입장을 취했다.

다른 의원 또한 "(독대) 성과에 대해 어떻다고 말하긴 이르다"면서도 "당 대표의 입장이 (지도부와 전체 의원) 전부의 입장은 아니"라고 각을 세웠다.

다만 명태균 씨 관련 의혹이 연일 확산되는 상황과 10·16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대통령실은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친윤으로 꼽히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한 대표는 '친윤이든, 대통령실이든 익명성 뒤에 숨지 마라'고 했다"며 "하지만 이 발언 직후 소위 친한계 인사들의 '한남동 7인회'와 같은 발언은 익명을 타고 언론을 장식했다. 윤석열 정부를 비난하며 자기 세를 규합한다고 해서 장밋빛 미래가 절로 굴러오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sos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