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2024 국정감사]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6월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추진 경과와 투자유치 계획 등을 발표하며 얼굴을 만지고 있다. 2024.06.19. /사진=강종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거 이명박정부 시절 해외 자원개발 사업 실패의 책임자가 현 정부의 동해 심해 가스·유전 개발사업 일명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이날 감사에선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 자료 제출 거부와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의 답변 태도를 놓고 여야 구분없이 질타가 쏟아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는 17일 울산 중구 석유공사 본사에서 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 등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자원 공기업에 대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석유공사의 성공불융자 감면사업을 보면 감면액 상위 10개 내역 중 최근 제일 크게 감면받은 내역이 "국내 대륙붕 제8광구 및 제6-1광구 북부사업"이라며 "1020억원의 융자금을 감면받은 해당 사업은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사업구간이 포함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009년 11월 (이명박정부 당시 투자에 실패한) 하베스트 사업 손실에 책임이 있는 곽모 본부장이 지금 석유공사 에너지 사업본부장으로 대왕고래 프로젝트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며 "2022년 (성공불융자 면제신청으로) 사업 실패를 선언하고 그런(앞선 사업의 관계자) 분을 사업 책임자로 내정해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신뢰가 다 깨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주호영 의원 역시 "지금 민주당이 다수 의석인 상황에서 대왕고래 첫 해 예산 1000억원도 (야당) 동의가 있어야 편성이 가능하다"며 "이렇게 감춰서 어떻게 야당을 설득하겠냐"고 했다. 주 의원은 "야당을 설득하려면 필요한 자료가 있으면 내놓고 판단을 해야지 자료 제목만 내는 식으로 해서 어떻게 설득하겠느냐"라고 김 사장을 질타했다.
김한규 민주당 의원은 "석유공사가 자료제출을 못한다는 이유가 투자유치 진행의 어려움이 있고 비밀유지 협약 때문이라고 한다"며 "광구의 유망성을 널리 알려서 투자자의 관심을 받아야 되는 상황이고 참여 업체엔 다 제공하는 자료인데 (공개한다고) 협상에 영향을 주느냐"라고 질의했다. 또 "비밀유지협약은 석유공사가 참여자들에게 받아낸 것이지 규정이나 국제법에 따라 반드시 해야하는 게 아니다"라며 "보지도 않고 믿는자 행복하다는 식으로 믿어야하냐"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은 올해 대왕고래 시추 예산의 예타 적용 논란을 지적하며 "예타 기준은 기획재정부의 행정규칙인 훈령에 해당해 법적구속력이 없다"며 "석유공사가 법리적인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필요하면 기재부와 예타 면제를 논의하는 노력을 보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훈남 기자 hoo1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