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8 (금)

KT 노사, 구조조정 합의…자회사로 내몰리는 통신 네트워크 인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서울 종로구 케이티(KT) 광화문 사옥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케이티(KT) 노사가 새로 설립하는 자회사에 통신 네트워크 관리 업무를 이관해 인력을 재배치하는 구조조정 방안에 합의했다. 인공지능(AI) 신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려는 회사와 자회사에서 임금을 낮추더라도 촉탁직 형태로 정년을 연장하려는 노조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케이티는 17일 “인력 구조 혁신 추진을 위한 노사 간 협의를 완료하고, 특별희망퇴직 시행에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다. 노사는 이날 자회사 이동에 따른 지원금과 정년 이후 촉탁직 고용 기간 등을 늘리는 조건에 합의했다. 자회사 전출과 특별희망퇴직 등을 통한 인력 조정 규모는 약 5700명으로 알려졌다. 회사 전체 직원(6월 말 기준 1만8617명)의 약 30%에 달하는 인원이다.



당초 케이티 쪽은 네트워크 운용과 유지보수를 전담하는 신설 자회사 케이티 오에스피(KT OSP)와 케이티 피앤엠(KT P&M)으로 이동하는 직원의 기본급을 본사 대비 70%(근속 10년 이상 기준) 수준으로 낮추고, 나머지 30%의 기본급 삭감분에 정년까지 남은 기간을 곱한 액수의 3분의 2를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그러나 최종 합의안에선 기본급 삭감분에 잔여 근무 기간을 곱한 전액을 지급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또 현재 본사가 매해 정년퇴직자의 15%를 선발해 2년간 촉탁직으로 재고용하는 ‘시니어 컨설턴트’ 제도를 확대해 자회사 정년퇴직자의 경우 3년간 촉탁직(연봉 4500만원 수준)으로 일할 수 있게 하는 내용도 최종안에 포함했다. 이밖에 자회사 전출자와 특별희망퇴직자에게도 자녀 대학 학자금 등을 지원한다.



현재 케이티 전직원의 평균 연령은 49살에 이르는 등 통신 네트워크 인력 중에 정년을 앞둔 고연차 직원의 비중이 높다는 게 노사의 설명이다. 이들 중 다수는 지난 2002년 케이티가 민영화되기 이전 공기업(한국전기통신공사) 시절에 기술직으로 입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케이티 노조는 전출 지원금 상향 등을 통해 실질적인 급여 삭감과 본사와의 복지제도 차별을 막는 등 최선의 합의안을 도출했다는 입장이다. 김인관 케이티 노조위원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해마다 약 1000명씩 정년퇴직자가 생겨 선로시설 유지·보수(CM) 업무는 ‘2인1조’인 현장 작업조를 꾸리기 어려울 만큼 인력난이 심각하다. 일부 업무는 외주 업체에 용역을 주는 방식으로 명맥을 유지했지만, 매년 지점 통폐합 등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55살 이상 직원 중에선 자회사로 이동하려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이티가 정년퇴직자의 ‘좋은 일자리’를 채우지 않아 업무를 외주화하는 데까지 이른 상황에서 노조가 기존 인력의 자회사 이동 등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인 셈이다. 회사는 네트워크 업무를 자회사로 이관해 조직 슬림화와 인건비 절감을, 노조는 고연차 직원이 바라는 정년 연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