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3 (수)

Fed 피벗에도, 뛰는 美 국채 금리…1990년대 그린스펀 걸작 재연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국채 2년물 금리, 9월 FOMC 후 34bp ↑

그린스펀 연착륙 성공시킨 1995년과 비슷

미 경제 연착륙 넘어 노랜딩 전망 고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 사이클 개시한 뒤 국채 금리가 오히려 급등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 경제가 연착륙을 넘어 성장세를 지속하는 '노랜딩'(무착륙)에 성공할 수 있다는 전망이 바탕이 됐다. 지난 1989년 이후 미국의 6차례의 금리 인하 사이클 중 경기침체를 피한 1995년 '그린스펀의 걸작'을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재연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고개를 들고 있다.

아시아경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2일(현지시간) 글로벌 채권시장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27분 현재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4.03%,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2%선을 기록 중이다.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가 4.2%를 돌파한 것은 3개월 만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Fed가 지난달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4.75~5.0%로 낮추며 통화완화 정책을 시작한 뒤 미 국채 2년물은 약 한 달(23거래일) 동안 34bp(1bp=0.01%포인트), 10년물은 같은 기간 40bp 금리가 뛰었다고 분석했다. 1989년 이후 Fed가 단행한 총 6차례의 통화완화 주기를 살펴 보면, 금리 인하를 개시한 뒤 미 국채 수익률은 2년물 기준으로 한 달 동안 평균 15bp 하락했다. 기준금리가 계속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채권 금리를 밀어내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엔 국채 금리가 되레 오르는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이는 미 경제가 우려와 달리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Fed가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란 관측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노동시장과 소비가 예상보다 견고한 것으로 확인되며, 일각에선 노랜딩 시나리오까지 거론된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9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전월 보다 25만4000건 늘어나 6개월 만에 증가폭이 가장 컸다. 시장 전망치(14만7000건)와 지난 8월(15만9000건 증가) 수치 모두 크게 상회했다. 여기에 9월 소매판매도 전월 보다 0.4% 늘어나 예상치(0.3%)를 웃돌았다. 이에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한 Fed가 향후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란 전망이 확산됐다. Fed 내 '매파(통화긴축 선호)'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전날 위스콘신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앞으로 몇 개 분기 동안 중립 (금리)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보다 완만한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금리 인하 속도가 빨라지려면 노동시장이 빠르게 약화된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있어야 한다"고 말해 금리 인하 속도조절을 시사했다.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도 크게 후퇴했다. 현재 금리 선물 시장은 Fed가 2025년 9월까지 금리를 총 127bp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달 전까지만 해도 195bp 낮출 것으로 예상했는데, 시장이 전망하는 인하폭이 크게 줄었다.

아시아경제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번 파월 의장의 통화완화 사이클이 앨런 그린스펀 전 Fed 의장이 금리 인하에도 침체 없이 연착륙을 성공시켰던 1995년의 데자뷔가 될 수 있다고 봤다. 1989년 이후 6번의 금리 인하 사이클 중 Fed가 침체를 피한 시기는 1995년과 1998년 두 차례뿐이다. 그린스펀은 1994년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린 뒤 고용 위축 등 침체 우려로 1995년 7월부터 금리를 인하했고, 다행히 미 경제 연착륙 달성에 성공했다. 당시 미 국채 금리는 그린스펀이 금리 인하에 착수한 1995년 7월 이후 한 달 가량 2년물이 34bp, 10년물이 39bp 올랐다. 파월 의장이 지난달 통화완화 사이클을 시작한 이후 미 국채 금리 상승폭과 비슷하다.

도이체 방크 AG의 스티븐 젱 금리 전략가는 "국채 수익률 상승은 경기 침체 위험 감소를 반영한다"며 "(경제) 지표가 상당히 강력하게 나온 만큼 Fed가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 국채 금리 상승에 '트럼프 트레이드'가 일부 반영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미 대선이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을 점치는 전망이 늘어나면서, 채권 금리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진단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고율 관세, 대규모 감세를 공약으로 내세웠는데 향후 인플레이션 상승과 연방정부 적자 확대를 낳음으로써 금리를 밀어올릴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