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5 (금)

우크라 "북한군 23일 러 쿠르스크 도착"…파병 인정한 푸틴 "위성사진 중요"(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만2000명 북한군 러시아서 훈련 진행…러 국방차관 훈련·적응 담당"

푸틴 "북한과 조약 이행은 우리가 알아서 할 일"…美 "계속 모니터링할 것"

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워싱턴=뉴스1) 이창규 기자 류정민 특파원 =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한 병력이 우크라이나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부인을 하지 않으면서 북한과의 군사협력을 강조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군사 정보국(HUR)은 이날 텔레그램을 통한 성명에서 장교 500명과 장성 3명을 포함해 약 1만 2000명의 북한 군인들이 이미 러시아에 있으며 5개 군사기지에서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는 유누스 벡 예브쿠로프 러시아 국방부 차관을 북한군의 훈련 및 적응을 담당하는 책임자로 임명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군이 러시아군을 돕기 위해 오는 23일 쿠르스크주에 도착할 것이라는 키릴로 부다노프 HUR 국장이 맞은 셈이다.

앞서 교도통신은 우크라이나 군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군 병사 약 2000명이 러시아 동부에서 훈련을 마치고 기차를 타고 우크라이나 국경과 가까운 러시아 서부로 이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도 지난 23일 브리핑에서 "북한이 10월 초에서 중반 사이에 최소 3000명의 군인을 러시아 동부로 배를 통해 이동시켰다고 평가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뉴스1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을 입은 러시아 벨고로드 건물의 모습. ⓒ AFP=뉴스1 ⓒ News1 유수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분석들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이 사실상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마침표를 찍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군의 동향이 담긴 위성사진과 관련한 질문에 "사진은 중요한 것"이라며 "사진이 있다면 그것은 무언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군 파병과 관련해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북한군이 현재 러시아 내 주둔하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또 북한과 지난 6월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의 4조를 언급하면서 "우리는 북한 지도부가 합의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의심한 적이 없다"며 "우리가 조항 내에서 무엇을 할지는 우리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조약 4조엔 침략 시 상호 지원 문제를 정확히 다룬 것으로 양측 어느 한 쪽이 침략을 당할 경우 군사 지원을 포함해 필요한 모든 지원을 서로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편 미국은 북한군 파병과 관련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군 병력이 러시아 남서부 쿠르스크 전장에 배치됐다는 우크라이나군 주장 및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해 "그에 대해서는 현재 아는 것이 없지만, 계속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싱 대변인은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와의 전투에 투입될 경우 미국의 직접적인 군사 개입 등 더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미국은 불과 지난주에 수억 달러 규모의 물품을 우크라이나에 추가로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느냐"면서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북한군이 러시아에서 정확하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고, 가정을 전제로 길을 갈 순 없다"라면서 정보 파악이 우선이라는 점을 거듭 피력했다.

싱 부대변인은 "분명한 것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은 현재 푸틴이 우크라이나에서 전략적 목표 달성에 실패해 절박해졌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만약 북한이 전투에 참여한다면 공동 교전국이 되는 것이며, 이는 매우 심각한 이슈"라고 거듭 강조했다.

yellowapoll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