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2 (토)

용산 방어? 더 압박?...'차별화' 갈림길 선 한동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 씨 간 육성 통화 녹음의 파장이 여권의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연일 용산을 향해 '쇄신 압박'을 이어가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도 녹취 공개 이후엔 숙고에 들어간 모습인데, 과연 어떤 정치적 선택을 하게 될까요?

임성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육성' 공개 이후 한동훈 대표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대표 (지난달 31일) : (대표님, 민주당이 녹취를 공개했는데요.) ….]

녹음 파일 공개 하루 전, 특별감찰관 관철 의지를 거듭 분명히 하며 매듭짓고 갈 건 매듭짓고 가잔 모습과는 사뭇 다른 행보입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대표 (지난달 30일) : 제대로 평가받고 그에 터 잡아서 개혁의 동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겨울이 오기 전에 11월에 먼저 매듭지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당혹감을 넘어 적잖은 위기감에 휩싸였단 분석도 나오는데, 이는 한 대표와 친한계를 넘어 친윤계까지, 여권 전반으로 번지는 분위기입니다.

통화 당시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이었기에 공천 의견 개진도 법적으로 문제 될 게 없다는 반박도 나오지만,

[권성동 / 국민의힘 의원 (지난달 31일) : 아시다시피 그 일시는 대통령 취임하기 전에 당선인 신분에서 대화였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탄핵 사유가 되지도 않고요.]

'대선 경선 이후 명 씨와의 통화는 없었던 기억'이라는 대통령실 입장이 번복된 점 등을 고려하면 위법 여부는 되려 본질이 아니란 지적도 나옵니다.

당 지도부가 섣부른 대응을 자제하고 있는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읽힙니다.

[추경호 / 국민의힘 원내대표 (1일) :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는 부분이고,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아직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상황을 좀 더 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내에선 일단, 용산 대통령실의 쇄신과 변화를 요구해야 하지만, 윤 대통령이 무너지면 차기 대선은 없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는 기류입니다.

김 여사 리스크 해소를 위해 꺼냈던 '특별감찰관' 카드가 동력을 잃었단 평가 속, 한 대표가 내놓을 해법이 무엇인지 정치권 시선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친윤계에선 당의 위기를 인정하면서도 그 해법이 대통령실과 다시 각을 세우며 압박하는 방식은 아니어야 한다는 점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권영세 / 국민의힘 의원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 압박을 하고 이러는 거는 지금 우리 당으로서 옳은 태도가 아니고 대통령실도 지금 최근에 일어난 여러 가지 사태에 대해서 굉장히 엄중한 거로 받아들이고 있고….]

반면, 당내 소장파를 중심으로 뭉치고 단결하되 특별감찰관 이상의 대책을 내놔야 한단 목소리도 나옵니다.

당이 먼저 대통령의 잘못을 이야기하고, 사법 리스크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잔 주장이 대표적입니다.

[김재섭 / 국민의힘 의원 (1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 그 난관을 극복해내는 방식이 대통령은 무오류고, 대통령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고, 대통령은 사과를 해서는 안 되고, 이런 방식으로 총의를 모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애초 특별감찰관 의견 수렴을 위해 다음 주 초로 추진되던 여당 의원총회가 '대통령 육성' 논란 등 현안 전반을 논의하는 장이 될 수 있단 전망도 나옵니다.

이 과정에서 한동훈 대표가 내놓을 대응과 해법이 그의 당내 리더십을 판가름할 주요 잣대가 될 거로 보입니다.

YTN 임성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연진영

디자인 : 이나영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star 조각 퀴즈 이벤트 3탄 바로가기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