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소비자가 생각하는 적정 커피값은?…"아메리카노 2635원·카페라테 3323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비자원 설문조사, 커피빈 아메리카노 5000원으로 가장 비싸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최근 일부 커피전문점의 가격 인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자가 생각하는 커피의 적정 값 평균은 아메리카노 2635원, 카페라테 3323원으로 조사됐다.

5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5월 24~30일 최근 6개월 동안 커피전문점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메뉴별 적정 가격은 아메리카노 평균 2635원, 카페라테 3323원, 캐러멜마키아토 3564원, 티(차) 2983원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기대하는 가격에 비해 실제 커피전문점의 판매가는 최소 13.9%(366원)에서 최대 32.4%(1153원)까지 비쌌다.

소비자원이 지난 5~6월 국내 주요 25개 브랜드에 대해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들의 메뉴별 평균 가격은 아메리카노 3001원, 카페라테 3978원, 캐러멜마키아토 4717원, 티 3555원으로 조사됐다.

업체별 가격 차이도 컸다. 같은 용량의 아메리카노의 경우 커피빈이 5000원으로 가장 비싸고, 폴바셋 4700원, 스타벅스·파스쿠찌·엔제리너스·투썸플레이스·할리스·드롭탑·카페베네 등은 4500원으로 나타났다.

메가MGC커피와 컴포즈커피·빽다방 등 6개 업체는 1500원, 카페봄봄은 130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또, 최근 5년 간(2019년~2023년)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주요 커피전문점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2166건으로, 그 중 주문 변경‧ 취소 불가 등 약관‧ 정책과 관련된 상담이 43.5%(942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조사대상인 스마트오더 앱이 있는 21개 커피전문점 가운데 15개(71.4%)에서 스마트오더 앱으로 주문한 후 변경·취소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영업 중인 커피전문점 가운데 스마트오더 앱 내 취소기능이 없는 곳은 스타벅스·엔제리너스·투썸플레이스·메가MGC커피·할리스·폴바셋·더벤티·매머드익스프레스·텐퍼센트커피·더리터·카페봄봄·카페게이트·커피베이·카페051·드롭탑 등 15곳이다.

주문 취소 기능이 있는 업체는 파스쿠찌와 이디야커피·빽다방·커피빈·컴포즈커피·탐앤탐스 등 6곳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디야커피와 커피빈은 소비자원이 지난 3월 예비조사를 진행한 이후 자율적으로 개선해 취소 기능을 도입했고, 스타벅스는 연내 스마트오더 앱인 사이렌오더에 취소 기능을 도입하기로 했고, 투썸 등 10개 업체도 소비자원의 개선 권고를 수용해 취소 기능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전해다.

소비자원 측은 "스마트오더 앱을 이용해 주문하는 경우 커피전문점에서 주문접수 전이나 음료 제조 전이라면 소비자가 주문을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도록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은 스타벅스 등 글로벌 커피전문점들이 해외에서 통용되는 온스(oz)와 액량온스(fl.oz) 등 비법정단위를 쓰는 점도 지적했다.

25개 조사업체 가운데 17개(68%) 업체가 매장 또는 온라인에서 온스 단위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소비자 1000명에게 설문 결과 20.2%(202명)만이 온스나 액량 온스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었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25개 프랜차이즈 중 23개가 매장에 열량·당류·단백질·포화지방·나트륨 등 5대 영양성분을 표시하고 있고, 22개 업체는 총카페인 함량을 공개하고 있지만 채널·항목별 정보제공 수준이 달라 업계 전체적으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스마트오더 앱에 주문취소 기능 및 사전고지 절차 등 마련, ▲법정단위 표시 강화, ▲ 영양성분 정보 등 표시 강화 등을 권고했다"며 "법정단위를 표시하지 않은 사례는 관련 부처와 공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