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6 (수)

[美 대선 영향]전기차 전략 차질…‘2조’ 배터리 AMPC 삭감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차·배터리·철강업계 우려 …항공업계 '반색'

현대차, 대미 전략 수정…하이브리드 혼류 생산

항공업계, 러·우 지정학 리스크 해소 기대

‘올해만 2조’ 배터리 AMPC 폐지 촉각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산업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대미통상에서 민감한 자동차와 배터리 업계가 근심에 휩싸였다. 당장 친환경 정책 폐기를 내세운 만큼 매출과 투자의 상당부분이 집중된 미국 시장에서 영업 전략이 차질을 빚게 됐다. 단기적으로는 바이든 정부의 대표 정책이었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폐기되거나 축소되면서 전기차 생산과 수출이 한발 후퇴할 가능성이 높다.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에 따라 철강 분야도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아시아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차 대미 전략 수정 불가피=트럼프가 내놓은 자동차 산업 관련 공약을 보면 전기차 의무 명령과 IRA를 폐지하고 관련 예산 중에서 미집행 자금을 적극 회수하겠다고 언급했다. 또 고강도의 탈중국 정책을 예고하면서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고율관세, 모든 수입품에는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이다.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집권으로 전기차 시장 위축이 예상되는 반면,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시장 비중은 확대될 것으로 내다본다. 수입차에 대한 추가 관세가 강화되면서 미국 내 생산과 투자도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차는 120억달러(약 16조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에 전용 전기차 공장(HMGMA)을 설립했는데 지난 10월부터 가동을 시작한 HMGMA의 혼류생산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미국 정책 변화에 대응할 예정이다.

윤태식 현대차 IR팀장은 "전기차 전용공장으로 지었지만 시장 수요가 있는 하이브리드(HEV)로 생산 변경이 가능하다"며 "소비자 수요가 있는 차종으로 전략을 수정하며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사이익 기대감도 있다. 트럼프 정부의 중국 견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 무역장벽이 높아지면서 언제든 추가 관세 인상이 가능하다는 얘기도 된다. 관세 인상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독일 등 대(對)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흑자를 거두고 있는 국가와 연대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를 저지하려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업계는 지적한다.

항공업계는 트럼프 수혜가 예상된다. 미국의 대(對) 러시아 제재 해제를 기대해볼 수 있다. 우크라이나 지원에 회의적인 트럼프가 ‘조기 종전’ 압박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전쟁이 끝나고 제재가 풀리면 러시아 하늘길도 열릴 가능성이 커진다. 운항 시간이 감소하고 유류비 부담이 줄면서 항공사 수익성이 개선될 여지가 생긴 셈이다.

미중관계 불확실성도 항공업계에는 호재다. 그동안 양국 갈등으로 미국과 중국간 직항 노선이 급감했고 대신 우리나라를 경유하는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국내 항공사들이 반사수혜를 입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2기에서는 앞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중국 항공사들의 미국 직항 노선 증편 계획도 철회될 공산이 크다.

아시아경제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HMGMA) 조감도. 현대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만 2조’ 배터리 AMPC 폐지 촉각=배터리 업계는 현재 진행 중인 ‘캐즘(일시적 수요부진)’을 넘어 장기적인 수요 부진에 빠질 것으로 우려한다. 나아가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폐지 내지는 조정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한 국내 배터리기업들은 올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덕분에 버틸 수 있었다. 미국 정부에서 수조원의 세액공제혜택을 받지 않았다면 장부상 적자를 면치 못하기 때문이다. 3분기까지 LG에너지솔루션은 1조1027억원을 받았고 SK온도 2111억원을 돌려받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 후 IRA를 손댈 경우 배터리사 타격은 불가피하다.

다만 당장 IRA에 칼을 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SK온은 최근 실적발표에서 "트럼프 후보가 재집권하더라도 IRA 전면 폐지는 어려울 것"이라며 "IRA로 인한 투자가 공화당 집권 주(州)에 집중돼 있다는 점과 공화당 하원의원 18명과 의장이 IRA 폐기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고 밝혔다.

철강업계도 미국의 보호무역 심화로 인해 대미 수출이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미국은 지난 2018년 트럼프 대통령 시절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대해 각각 25%,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며 "국내 철강업계는 관세 대신 쿼터 부과국(연 263만t)으로, 향후 232조 재협의를 통해 쿼터 축소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이 저가 중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를 강화해 미국 외 유럽, 아시아 시장으로 중국산 물량이 대거 풀리면서 판매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