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조선 협력' 메시지/그래픽=윤선정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조선 협력'을 요청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의 기대감이 커진다. 그간 공을 들여왔던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이 추진력을 얻을 전망이다.
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사들은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 이후 특수선 업계를 중심으로 미국 시장 진출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한국시간) 오전 윤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선박 수출뿐 아니라 보수·수리·정비 분야에서도 한국과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기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상과의 첫 통화에서 '조선 협력'을 가장 먼저 요청한 셈이다.
당장 미 해군 MRO 사업 협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조선업이 쇠퇴하면서 함정의 건조보다 퇴역이 더 빠른 실정이다. 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중국의 군사력 증강 등 대외적 요인으로 기존 함정의 MRO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실상 포화 상태에 이른 미국내 조선소는 신규 건조에 집중하고 MRO는 동맹국에 맡기는 움직임이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 업계에서는 미국 MRO 시장 규모를 연간 20조원으로 추산한다.
미 해군 MRO 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온 국내 조선 업계는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앞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미 해군 MRO 시장에 진출하는 '자격증'에 해당하는 함정정비협약(MSRA)을 나란히 취득했다. 이어 한화오션은 지난 8월 미 해군이 발주한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Wally Schirra)호 MRO 사업을 수주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조선업이 쇠퇴한 상황에서 MRO를 중국에 맡길 수도 없고 동맹국의 힘을 빌린다는 건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면서 "미 해군 MRO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던 한국 조선 업계 입장에선 기대감이 생길 수밖에 없는 발언"이라고 했다.
미국 법에 따라 해외 조선소의 진출이 불가능했던 전투함 MRO 사업과 군함 건조 사업에서의 협력도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의 '존스법'은 미국 내에서 운항·정박하는 모든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하도록 정하고 있다. 같은 법에 따라 해외 조선소에서의 해군 MRO 사업은 비전투함에 국한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중국과의 해군력 경쟁에서 위기를 느끼고 있기 때문에 한미 협력은 비전투함 MRO에만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군함 건조 영역에서는 보안 문제가 덜한 지원함 등에서부터 협력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화석 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의 추진을 예고한 점도 국내 조선 업계에서는 호재로 인식한다. 화석 연료와 친환경 에너지의 중간 단계의 '브릿지 에너지'인 LNG(액화천연가스)·LPG(액화석유가스) 수요와 수출이 크게 늘 수 있어서다. 현재 미국에서 2027~2028년 허가 승인이 필요한 LNG 프로젝트는 6800만t 규모로 추산된다.
업계에서는 차기 트럼프 행정부가 LNG 프로젝트 개발을 재개할 경우 100척 이상의 LNG 운반선 신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본다. 업계 관계자는 "친환경 선박이 자리잡으려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 시기 LNG선 발주가 몇년간 이어진다고 하면 시간을 벌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김도균 기자 dkkim@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